교차 2호 : 물질의 삶 교차 2
신광복 외 지음 / 읻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와 분과를 가로지르는 지식의 교차로
읻다의 본격 서평 무크지 《교차》

‘이로써 책을 통해 축적된 사유가 서평을 매개로 맞부딪치는 지적 교류의 장을 지향한다.’

2021년 읻다에서 창간한 《교차》는 학술서 중심의 서평이 담긴 서평지입니다. 제가 남기는 것과 같은 얼렁뚱땅 단순 기록의 서평이 아니라,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책을 읽고 쓰는 논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학부생 막학기 때로 돌아가기 체험이 가능합니다. 🥹👍🏻 사실 서평 무크지라길래 가벼운 마음으로 재밌겠다고 생각했거든요, 대단한 오산이었죠! 덕분에 스스로의 무식을 상기하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향한 존경을 되새기는 시간이었습니다.

저는 비주제 서평 중, 서보경의 <페미니즘과 거대한 규모의 의학>과 권용란의 <서양 인류학자의 시선으로 본 한국의 여성 의례>가 가장 흥미로웠어요. 해당 서평에 대한 설명은 출판사의 말을 빌리겠습니다.

서보경의 〈페미니즘과 거대한 규모의 의학〉은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관련된 월경 이상 문제를 발단으로, 여성의 질병과 고통을 다룬 《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언다잉》, 《질병과 함께 춤을》을 함께 읽으며 지식 체계의 어긋난 틈이 낳은 의학의 구조적 무지에 대한 해결을 촉구한다. 권용란의 〈서양 인류학자의 시선으로 본 한국의 여성 의례〉는 1970년대 한국 여성의 삶과 무속을 다룬 로렐 켄달의 《무당, 여성, 신령들》을 통해 근대화 시기의 생활사를 살펴보고, 조선 시대 이후 여성 의례의 위치 변화를 돌아본다.

=> 코로나가 극심했던 2022년에 쓰여진 내용이라
또 그 이후에도 영화 파묘나 현 정권(..) 등의 이슈로 코리아 무속신앙에 대한 관심이 내외로 크게 높아졌다고 생각해요. 2024년에는 또 어떤 관점으로 해당 도서들을 읽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다른 분들의 후기가 궁금하여 서치해보다가 @andparkinsoo 님의 게시물에서
'학계와 출판계의 시차를 줄이고, 학술서와 대중서의 낙차를 좁히는 서평지 교차'라는 설명을 읽었습니다. 어딘가에서는 그런 시차와 낙차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있구나.. 생각하니 새삼 세상이 넓게 느껴져요. 나는 단 한번도 고민해보지 않았던 일에 대해 누군가는 평생을 바치고있단걸 체감할 때 갖게 되는 새로운 마음가짐이 있습니다.

역시 책을 읽는 것만큼이나 책에 대해 나누는 시간 자체가 좋은 것 같아요. 책의 내용보다 그걸 읽은 독자의 마음이 더 궁금할 때가 많거든요. 학술지도 마찬가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