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다잉 프로젝트 - SF, 판타지, 블랙코미디 본격 장르만화 단편집
봉봉 지음 / 씨네21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 창작만화 공모전에서 다수 수상하고, 카카오웹툰에서 다양한 세계관과 작화를 선보여온 봉봉 작가의 첫 작품집이다. 장르물을 좋아하는 독자에게는 특히나 기쁜 소식일 것이다. SF, 판타지, 블랙코미디, 페이크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장르의 이야기를 만화로 만나볼 수 있다. 각 단편의 이야기가 끝날 때마다 여운이 상당하다. 저자가 그려내는 기발한 상상력의 세계가 놀랍다.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현실과 판타지, 풍자와 통찰이 저자만의 매력적인 작화와 섞여 완성도 높은 이야기로 탄생했다.

일단.. 정말 재미있었다! 가끔 정해진 기한 내에 너무 많은 책을 읽어야 하면 활자 자체에 질리게 된다. 그럼에도 읽는 일을 멈추자니 허전하고, 새로운 이야기는 채우고 싶고.. 바로 그럴 때! 이런 만화를 읽으면 딱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핸드폰으로 웹툰을 보는 것과는 또 다른 감각이다. 책으로 한 장 한 장 넘기며 그림을 보고, 글을 읽는 재미가 쏠쏠했다. 저자는 스릴러 장르 특유의 섬뜩함과 '서술트릭'을 절묘하게 사용한다. 소설 내에 글과 구성으로 트릭을 만들고, 동시에 힌트를 주며 독자를 속이는 추리소설의 한 장르가 바로 이것이다. 예상치 못하게 흘러가는 이야기들이 환기와 상기를 동시에 전한다.

<ANA> ㅣ 페이크 다큐멘터리, SF

최초로 인공 자궁을 통해 태어난 아기인 'ANA'. 아나를 활용한 화려한 감성마케팅으로 인공자궁은 불티나게 팔리고, 상용화된다. 모두가 인공자궁으로 아이를 낳기를 바라는 미래. 그리고 그 미래의 명과 암이 실감 나게 그려진다. 일어날 법한 일들, 생각할 법한 사고들, 반응할 법한 사람들까지. 가장 와닿는 문장이 많은 단편이었다. 책갈피를 꽂아두고 여러 번 곱씹으며 인간의 나아감에 대해 생각했다.

<웰다잉 프로젝트> ㅣ 블랙코미디

'가장 완벽한 모습으로!, 가장 아름다운 모습으로!, 가장 원하는 방식으로!' 신개념 리얼리티 쇼 '웰다잉 프로젝트'. 한 마디로 죽기로 결심한 이들이 준비된 전문가들과 함께 각자 원하는 방식으로 삶을 마무리하는 과정을 프로그램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다. (부정적으로 평가하자면 자살 돕기 프로젝트.. 일 수도) 정말 이런 프로그램이 나온다면 국내에서는 어떤 반응을 보일까? 생각하다가 아찔해졌다. 그리고 그 아찔한 미래를 저자는 실감나게 그려낸다. 현실이 짙게 반영된 블랙코미디에 마냥 웃을 수도, 슬퍼할 수도 없었다.

<붉은 여왕> ㅣ SF, 판타지

100년 전 개발된 외모 교정 유전자 시술이 전 세계 모두를 똑같은 얼굴로 태어나게 만들어 준 사회. 모두가 똑같이 아름답기에 누구나 면의 아름다움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유토피아가 배경인 단편이다. 정말 이런 사회가 온다면 어떨까? 이야기처럼 모두가 외적인 기준에 대해 자유로워질 수 있는 세상이 온다고 해도, 인간은 아름다움을 욕망할까? 아름다움을 향한 욕망은 학습되는 것일지, 인간이 타고나는 것일지도 궁금해졌다. 더불어 Olivia Rodrigo의 최근 앨범 노래인 'pretty isn't pretty'가 떠올랐다. 사회적 미의 기준은 맞춰도 맞춰도 끝이 없고, 타고나는 것을 외면한 채 말도 안 되는 이상을 좇느라 고통받는 무수한 이들에게 노래와 함께 이 단편을 권하고 싶다. 잠시나마 이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던지며 자유로워지길.

이외에도 버스를 하이재킹한 3인의 라이브방송 <마지막 비행> (블랙코미디), 햄스터가 내 도플갱어가 되어 함께 살아가게 된 <햄스터가 손톱을 먹었다>(드라마), 모든 것을 삼키는 변기를 숭상하는 괴짜 사이비 마을의 진실이 담긴 <신은 변기>(호러, 블랙코미디)가 수록되어 있다.

각 단편들은 질문을 남긴다. 이런 사회가 오면 어떻게 할래? 너는 이들의 선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등.. 우리가 속한 현실, 그리고 다가올 미래. 혹은 이미 다가왔음에도 알아채지 못했을 무언가에 대해 물음표를 만들어 내는 것이 SF만의, 장르물만의 매력이라 생각한다. 많은 이들과 함께 읽고 같은 고민을 나눌 수 있기를 바란다.


#책속의한줄 🔖

(43p.) 희망, 불경 그것은 변할 수 있어요. 인간은 어떤 기술을 사용하기에 따라 옳게 만들 수도, 나쁘게 만들 수도 있으니까요.

(45p.) 끝없이 기술을 만들어 내는 것은 인류라는 종의 숙명. 기술을 사용하는 방향이 가까이서 보면 비틀거릴지언정 멀리서 보면 옳은 방향으로 멈추지 않고 나아가길 바랄 뿐.

(46p.) 나는 아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124p.) 이것만 있다면 모든 사람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똑같이 아름다워질 테니까. 다시 모두가 평범해지는 거야.

#웰다잉프로젝트 #봉봉 #씨네21북스

#한겨레출판 #하니포터 #하니포터7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