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속담 사전 - 어휘력, 문해력, 표현력을 길러 주는 필독서 보리 어린이 사전 시리즈
보리 사전 편집부 엮음, 송만규 그림, 윤구병 기획 / 보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시대 아이들은 사전의 유용함을 알까라는 생각이 든다. 내가 학창 시절 때만 해도 인터넷이 많이 활성화되지 않고 스마트폰도 개개인이 갖고 다니지 않았기에 검색 채널은 주로 사전의 힘을 빌려야 했다. 그래서 두꺼운 사전을 가방에 넣어 가지고 다니거나 학교 사물함에서 자주 보았다. 그 뿐만 아니라 책상 서랍에 한 자리 하고 있었다. 요즘에는 모바일로 인터넷 검색 기능이 좋아지다보니 검색할 때는 무조건 핸드폰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핸드폰 이전에 전자수첩, 전자사전을 통해 검색을 하였다. 한 문장만 입력해서 검색을 하여도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 등 모든 검색이 가능한 인터넷 매체가 즐비한 시점에서 지금도 사전을 이용하는 학생이 얼마나 될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실 나는 빠른 디지털 시대를 역행하는 아날로그 감성을 가지고 있기에 사전이나 책이 주는 의미에 너무 많은 정감을 느낀다.
학창 시절 때 소지했던 다양한 사전들 중에서 기억이 나는 사전은 두껍고 휴대하기 어렵고 이미지 자체가 뚱뚱한 느낌이다. 이번에 내가 만나 본 사전도 크게 다를 바가 없지만 매우 유용해 보여 몇 번이고 읽어보게 된다. 바로 보리 속담 사전이다.
책을 받아보고 놀라웠다. 속담만으로 이렇게 두꺼운 사전을 만들 수 있다는 자체가 신기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정규 교육 과정을 졸업한 나 역시 속담은 많이 배워서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하지만 보리 속담 사전을 보니 내가 아는 속담이 과연 몇 개나 될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보리 속담 사전 사이즈가 생각보다 꽤 크고 등재되어 있는 속담에 개수도 어마어마하게 많다.
이중 우리가 실생활에서 얼마나 많은 속담을 사용할까? 라는 생각이 든다. 속담은 짧으면 한 줄 길어도 두 줄을 넘지 않는 문장에서 문장 안의 의미를 되새겨볼 때 그 의미를 십분 이해할 수 있다. 익숙하지 않은 속담 문구를 읽었을 때 아리송한 느낌도 있는데 해석을 따라 읽어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자음 순으로 속담이 등재되어 있고 그 속담에 대한 풀이가 이어져 있다. 그리고 속담 안에 풀이해야 할 낱말은 따로 설명을 해 두어 속담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었다. 같은 속담으로 유사한 속담을 나열해서 읽어보면 함께 의미도 파악할 수 있고 쉽게 외울 수 있다. 특히 속담 어원이나 보충 설명해야 할 부분은 읽을거리로 설명을 해두어 속담의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도록 하였다. 중간에 속담에 도움이 될 만한 그림도 있어 속담을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우리 아이는 아직 속담에 관해 많이 알지는 못한다. 하지만 요즘에 읽는 전래동화에서 속담 문구가 나오기 시작해서 관심을 갖는다. 아이가 읽는 전래동화는 효나 예 같은 덕목의 교훈이 많은데 그때 볼 수 있는 짧은 속담을 보고 의아해 하기도 한다. 아이가 보리 속담 사전을 찾고 읽는데 익숙해진다면 직접 속담을 찾아 의미를 찾는 데 도움이 많이 될 것이다.
이 책에서 한 가지 더 눈여겨볼 만한 부분은 책의 말미에 있는 부록편이다. 부록편이 알차게 구성되어 있다. 주제별로 속담을 알아보는 부분도 있고 비슷한 속담이 묶어 있어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속담의 유래가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글이기 때문에 농사를 짓는 우리의 풍습에서 유래가 된 속담이 많은데 이런 속담도 따로 모아서 정리하니 우리 옛 서민들의 지혜와 성견지명을 한 번에 볼 수 있어 의미하는 바가 크다. 이 책을 보면서 속담과 고사성어가 많이 오버랩 되어 보였는데 역시 속담과 고사성어를 같이 매칭하면서 속담과 고사성어를 함께 외우고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밖에 속담의 소재가 되는 단어를 따로 표시하면서 비슷한 속담을 찾는데에도 도움이 된다. 속담을 공부해서 내가 표현하고자 상황을 풍자하고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