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골의 꿈 - 전2권 세트
쿄고쿠 나츠히코 지음, 김소연 옮김 / 손안의책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우부메의 여름> <망량의 상자>에 이어 쿄고쿠 나츠히코의 추리소설을 세번째로 읽었다. 치밀하다!! 순식간에 두 권을 다 읽었다. 논리적으로 살짝 의아스러운 부분도 없지 않았지만 긴장감있게 읽힌다. 더구나 이 작가 특유의 초자연스러운 공포감 조성이라는 점에서는 압권이다. 도대체가 일본에는 왜 이리 원혼이나 귀신이 많은걸까 싶게 너무나 일본적인 그 으스스한 분위기. 비내리는 어두운 밤, 요기가 감도는 신사나 절 주변의 풍경 등등...책을 읽으면서 오래된 나무에서 풍기는 축축한 비냄새가 느껴질 정도로 실감난다. 묘사를 길게 해서 그런 것도 아니고 상황 자체가 너무나 이상하달까...도저히 있을 것 같지 않은 이야기가 연속해서 등장하는데 짧은 문장에도 머리카락이 쭈볏 선다.   

하지만 분위기가 다가 아니다. 한바탕 공포분위기를 조성해놓고 나중에 아님 말고 식으로 결론을 흐리지 않아서 좋다. 아무리 초자연적으로 보이는 사건일지라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 쿄고쿠 나츠히코 소설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끝까지 혼란스러운 머리를 부여잡고 책을 읽어온 독자에 대한 예의라고나 할까...환상소설이 아니라 추리소설이라서 좋은거다. 그것도 어디까지나 수수께끼풀이에 초점이 맞춰진다는 점에서 정말 정통 추리소설이다. 모든 에피소드들, 모든 단서들이 퍼즐의 조각처럼 마지막에 가서 맞아떨어지는 것을 보는 쾌감이 정통 추리소설의 매력이라면 그런 매력을 요즘 보기 드물게 듬뿍 갖고 있는 소설이다. 합리적인 설명은 고사하고 초자연적인 현상이라고 포기하더라도 정돈하기조차 어려울 정도의 '미친 이야기 조각들'을 결국엔 깔끔하게 짜맞추는 고쿄구도의 솜씨에 입이 떡 벌어질 뿐이다.

이 작가의 소설은 이야기의 층이 섬세하고 인간에 대한 통찰력이 굉장히 입체적인데 이것도 참 좋아한다. 교훈이나 설교 같은 것이 없으면서도 이야기 곳곳에 사회심리학적 분석이랄까 하는 것이 숨어있다. 무지나, 혹은 반대로 지나친 지식이 낳은 공포...인간 속에 숨어있는 어두운 면에 대한 이야기만이라면 그렇게 대단할 것도 없다. 하지만 쿄고쿠 나츠히코는 이 어둠을 파헤치면서 '실제로 어두운 것은 아무 것도 없다'라는 반전을 제시하는데 이것이 뒤통수를 친다. 하지만 단순히 공포나 무지에 맞서 이성의 밝은 면을 옹호하는 것도 아니다. 이 작가에는 공포에 시달리는 사람들에 대한 연민이 있다.   

책마다 이야기를 관통하는 하나의 이미지를 잡고 거기다 살을 붙여가는 방식도 맘에 든다. (물론 <망량의 상자>의 '상자'처럼 좀 지나치게 많이 등장한다는 느낌이 들 때도 있지만...) 어떤 이미지가 한번 등장하면 그런가보다 하지만 두번 세번..나오고 또 그것들 사이에 무슨 연결이 있는 것 같으니까 더 무섭다. 그 이미지에 얽힌(광골의 꿈에서는 '백골') 전설, 기록, 비전, 이론 등등이 현란하게 서로 얽히고 하나의 얼개를 형성하면서 사건이 해결된다. 이 얽는 솜씨가 보통이 아니라서 그 자체가 주술적으로 느껴질 정도다.

<광골의 꿈>은 <망량의 상자> 다음에 나온 소설인데 실제로 이 소설과 연결되는 에피소드가 등장한다. 꼭 그래서가 아니라 <망량의 상자> 다음에 읽으면 더욱 재밌다. <망량의 상자>에서 제시한 것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나오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스포일러라 말하기 어렵지만...전작에서 제시한 것을 작가 스스로 교묘하게 뒤집고 다시한번 뒤통수를 친다. 

으스스한 이야기이긴 하지만 곳곳에 의외의 유머도 많다. 그건 등장인물들 성격때문일거다. 전작에서 슬쩍 슬쩍 모습을 드러냈지만 여기서는 아예 전면에 나서서 일...이 아니라 훼방을 놓고 다니는 이상한 탐정 에노키즈의 대사가 튀어나올 때마다 너무 웃겼다. 기바 형사의 단순하고 괄괄한 성격이 여기에 맞부딪히면 심각한 와중에도 피식거리게 된다. 

한 가지 단점이라면 등장인물이 너무나 많이 나오고 그들이 서로 만나는게 너무 우연적이며, 일본의 역사나 전설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이야기 가닥을 따라잡기가 어렵다. 너무 전문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