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7 - 연산군일기, 절대권력을 향한 위험한 질주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7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 <왕의 남자> 개봉 이후 연산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TV에서도 연산군을 소재로 한 사극을 자주 볼 수 있지요. 그의 삶은 옳고 그름을 떠나 어느 왕들보다도 더 극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복수는 복수를 낳는다고 했던가요? 어머니가 강제로 죽임을 당했다는 사실이, 연산군 재위 기간 동안 계속 연산군과 조선의 운명을 결정합니다. 어머니의 죽음을 복수한다는 명분은, 처음에는 '정의감'으로 시작될지는 몰라도, 점차 '광기'로 변합니다. 피는 피를 부르는 것 같습니다. 나라 전체가 피비린내가 나고 백성들의 삶이 궁핍해지는 일이, 어쩌면 왕의 어머니였던 단 한 사람의 죽음에서 비롯되었는지도 모르지요. 정치 지도자가 사적인 원한을 가지고 있으면 백성들 전체가 고달파지는 것 같습니다.    

그가 예술에 심취했다는 점이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예술적 감성은 종종 이성적 판단을 마비시키는 것인가 봅니다. 그가 일찍 죽은 것과 대비되어서, 재위 기간 동안 향락에 취해 있다는 점도 인상깊었습니다. 어쩌면 짧게 살다가 인생의 최고조 점에서 급락해서 죽은 것인지도 모르지요. 짧고 화려하며 향락에 살다가 피비린내 속에서 비극적으로 죽는 인생 - 어쩌면 연산군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권력에 대한 욕구'에 충실한 사람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연산군을 비판하면서도, 그의 인생에 묘한 매력(?)을 느끼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저자는 알기 쉽고 재미있게 조선왕조실록을 만화로 옮기고 있습니다. 단순히 사료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 자신의 정치적 해석을 덧붙이기도 합니다. 과거의 역사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잘 풀어내고 있습니다. 이 책은 과거 역사를 단순히 암기하도록 만들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문제들을, 조선왕조 실록 만화를 통하여, 넌지시 비판하고 분석하며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