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 창덕궁을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잘 알려졌다시피, 창덕궁은 궁궐 해설사 분과 함께 동행하며 관람해야만 합니다. 해설사 분께서 낙선재를 가리키시며, 이곳이 덕혜옹주가 사셨던 곳이라고 설명을 해 주셨습니다. 책으로만 알고 있었던 덕혜옹주를, 실제 건물에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조선의 마지막 황녀’라는 타이틀을 들었을 때, 저는 그렇게 실감하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현장 답사를 통하여 덕혜옹주에 더 다가간 듯 합니다.
소설 <덕혜옹주>에서 눈길을 끈 것 중 하나는, 옹주와 복순의 관계였습니다. 옹주는 복순의 목숨을 구해주고, 복순 역시 옹주를 위하여 자신을 아끼지 않습니다. 둘 사이의 관계는 정말 애틋하고 정이 넘칩니다. 세상의 어떤 연인들이 복순과 옹주의 사랑을 뛰어 넘을 수 있을까요? 옹주가 복순을 구해주었을 때는 아주 어릴 때였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복순을 무시하고 상대하지 않으려 했지만, 옹주는 끝까지 복순을 지켜줍니다. 옹주는 마음이 어려도,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은 끝까지 밀고 가는 측면이 있는 듯 합니다.
덕혜옹주는 민족의 자긍심을 지키기 위하여 노력했다는 점에서는 평가할 만 합니다. 그러나 그녀가 앞선 시대 의식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의심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그녀는 전근대적인 ‘황녀’로서의 위치를 지키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조선’이라는 전근대적 왕정체제 국가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녀가 살았던 시대는 왕정 체제가 무너지고, 왕족이나 귀족이 자신의 신분적 지위를 버리고 살았던 민주주의의 시대입니다. 덕혜옹주가 남편의 정성을 거부한 것을 올바른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까요? 만일 덕혜옹주의 이전 신분 – 조선 황녀 – 을 감안하면, 그것은 민족적 저항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이제는 민주주의의 시대, 국민국가의 시대가 되었지 않습니까? 귀족 남편 앞에서 아내가 황녀로서의 자존심을 꺾지 않고 꼿꼿했던 것은 그렇게 멋있어 보이지만은 않습니다. 그녀는 민족을 버리지 못한 만큼이나 자신의 왕족으로서의 신분적 특권도 버릴 수 없었던 것은 아닐까요?
정혜와의 관계에서 덕혜옹주는 더 무너집니다. 남편 다케유키는 아내가 자신에게 차가운 것 까지는 이해하지만, 딸에게까지 무관심한 것까지는 참지 못합니다. 남편은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아이에게 무슨 죄가 있단 말인가.”라고 생각합니다. 정혜는 일본인과 한국인 사이에서 방황하다가, 안타깝게 세상에서 사라지고 맙니다. 저는 덕혜옹주가 ‘조선의 황녀’의 신분보다,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좀 더 충실했으면 하고 소망해 봅니다. 물론 그녀가 그렇게 행동한 것은 시대적인 상황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면이 있었겠지요. 덕혜옹주가 좀 더 인간적이고, 좀 더 영악하기를 바라는 것은 저의 과도한 욕심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