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떠나는 사람들 - 3040 지식노동자들의 피로도시 탈출
김승완 외 지음 / 남해의봄날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을 떠나는 사람들>은 서울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 생활을 시작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이 책이 특이한 것은, <귀촌>이나 <귀농>을 다루지 않고 있다는 데에 있다. 저자들은 모두 서울에서 가지고 있던 직업을 향촌에서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방 도시는 '물 좋고, 공기 좋고, 인심 좋고...' 이렇게 묘사된다. 뭔가 오염되지 않고, 순수한 지역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물론 맞는 말이다. 하지만 지방으로 내려간 사람들이 의외로 고민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인간관계였다. 

예를 들어 제주도 지역의 사람들은 육지 사람들과 뭔가 다른 문화와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농촌에 계신 어르신들은 도시에서 내려온 젊은이들이 한가롭게 지내는 것을 두고 보지 못하신다. 서울에 남아 있는 친구들과 연락을 유지하기는 어려워진다. 거기에다 애인 혹은 결혼 배우자가 이사를 반대하거나, 시골 정착에 힘들어 하면 상황은 더 복잡해진다.

예전부터 나는 고민이 있었다. "이것 저것 다 안 되면, 지방이라도 내려갈까? 집값도 싸고, 간섭하는 사람도 없고..." 일년 전에는 제법 심각하게 고민(?)을 했었다. 서울에서 적응 못할 바에야, 지방에서 나를 인정해 주는 사람이 있을 것 같았다.

책에 나온 이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있다. 지방 생활이 서울에 있을 때보다 경제적으로 풍요롭지는 않다. 하지만 정신적으로 만족하는 수준이 훨씬 높다. 그렇다면 나도 스스로 생각해야 할 것 같다. 지금은 윤택한 경제 생활을 꿈꿀 때가 아닌 듯 하다. 조금 덜 벌더라도, 정신적으로 여유 있는 삶을 즐기는 것이 내 자신에게 좋을 듯 하다. 마치 이 책의 저자들이 자연을 즐기며 삶의 다른 의미를 깨닫듯이 말이다. 

- 추가 : 지금 생활이 충분히 만족스럽지만, 그래도 나는 귀촌에 대한 꿈이 있다. 내가 만약 조건이 맞고, 내가 마음대로 한 지역을 선택하라고 하면, 인천 공항 근처를 선택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