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삼관 매혈기는 피를 파는 허삼관이라는 인물을 통해 가족에 대한 사랑과 모순된 사회에 대한 비판, 그리고 그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는 것에 대해 보여줍니다. 문화혁명이라는 대 격동기를 겪으면서도 등장인물들은 절망하거나 좌절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저자 위화는 등장인물들의 삶을 따뜻한 미소로 그려냅니다.

비교해 볼만한 책으로 다이 호우잉의 '사람아 아 사람아'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허삼관 매혈기와 다루는 시기가 거의 같습니다. 등장인물들은 지식인으로서, 불합리한 중국 정부와 사회에 대해 핍박당하고, 그것에 저항합니다. 이 소설의 분위기는 상당히 어둡고, 슬픕니다. 물론 주인공들은 이러한 어두운 현실을 뜨거운 사랑과 열정으로 극복해 나가긴 하지많요. 상당히 치열한 고민의 흔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반면에 허삼관 매혈기는 위의 책과 달리, 지식이라고는 찾아 볼 수 없는 완전한 밑바닥
사람들의 이야기르 다룹니다. 이들도 불합리한 중국 정부와 사회에게 핍박당합니다. 하지만 소설의 분위기는 상당히 밝고, 긍정적입니다. 삶에 대한 치열한 긍정, 생명력이라고 할까요? 다이 호우잉의 소설이 슬프고 무거움 속에서 긍정적인 것들을 찾아가는 것이라면, 이 허삼관 매혈기는 아예 처음부터 가벼움으로 대응합니다. 등장 인물들의 행동들은 전혀 진지하거나 엄숙하지 않고, 오히려 가소롭기 까지 합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들이 전혀 미워할 수 없는 사람들이라는 것입니다. 그들이 하는 행동들은 하나 같이 우스꽝스럽고 어리석으며 그들의 대사들은 얼마나 비속어가 많이 섞여 있는지 모릅니다. 그럼에도 전혀 나쁘다거나 위선적이지 않습니다.오히려 이러한 '밑바닥'의 모습을 통해 우리는 삶, 인생, 사회에 대해 더욱 진지하게 고민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소설은 중국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부패한 당 관료)으로도 읽힐 수 있지만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피를 판다는 것 자체가 매매를 기본으로 한 자본주의의 속성으로 생각할 수 있기에)으로 읽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사랑으로도 읽을 수 있지만 동시에 가족에 대한 비판(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허삼관)으로도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러 가지로 관점을 다르게 읽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소설의 진정한 매력인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