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 현대사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연 / 소나무 / 1989년 6월
평점 :
품절


네윈을 보면서 박정희와 상당히 유사한 점이 있다고 느꼈다. 2인자에 대해서 철저히 배격하고, 반상회 등을 통해 국민의 입과 귀를 통제하려고 애쓰며, 중앙 정보부를 통해 엄격한 감시체제를 만든 것은 너무나도 흡사하다. 장기 집권을 시도한 것과 정부 중심의 경제 정책을 운용한 것도 비슷하다. 대부분의 지배층이 부정 부패를 통해 재산을 축적하는 것을 용인하면서도 정작 네윈과 박정희 자신은 부정 부패가 적었다는 것도 눈에 띄는 일이다.

그러나 네윈은 박정희와 달리, 자신의 국가의 독립을 위해 싸웠고 그것이 초기 집권 시의 정통성을 보장해 주었다. 물론 두 명 모두 친일을 했지만, 한국과 미얀마의 친일의 의미는 다르다. 네윈은 영국을 견제하는 의미에서, 일본의 도움을 얻고자 했던 것이다.
이 두 지도자를 보면, 식민지였던 국가, 제3세계 국가에서 자본주의 사회주의의 구분이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다는 생각이 든다. 한 명은 미얀마식 사회주의를 표방했고, 한 명은 한국식 민주주의를 표방했다. 그러나 통치 방식은, 독재의 형태로 비슷하였다.

제3세계에서 야심찬 엘리트 청년들이 군대에서 자신의 꿈을 펼치려 하였다. 그리고 정치가들의 무능과 부패는 이들에게 기회를 주었다. 이들은 집권 초기에는 군인 다운 패기와 추진력으로 국가를 부흥시키려 노력하였고, 실제로 이들에 의해 제3세계의 근대화가 이루어진 것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이들의 몰락은 비참하였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민중의 요구에 군부는 비참하게 몰락하였다. 이들은 어디까지나 '군인'이었지 '정치가'는 아니었던 것이다.

조금 나라가 늦게 부흥되는 단점이 있더라도, 민주적인 방법으로 통치하는 것이 결국은 옳지 않았을까? 미얀마에서 계속되는 공산당의 반란과 소수 민족의 갈등, 한국에서 고착화된 분단의 문제 등을 살펴 볼 때 네윈과 박정희는 너무 자신을 과대 평가한 측면이 있다. 조금 나쁘게 말하면, '국가'와 자신의 통치를 동일시하였다. 민중들의 지탄을 받아 가면서도 자신의 집권을 조금이라도 연장하기 위해 애쓰는 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한편으로 어리석고 불쌍하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