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론 - 상 범우고전선 29
아담 스미스 지음, 정해동 옮김 / 범우사 / 1998년 12월
평점 :
품절


1776년의 아담 스미스가 산업혁명과 계급사회, 대공황과 세계대전을 예측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국부론이 하나의 그것들의 '씨앗'이 된 것은 확실하다. 이 책이 나왔을 때에는 물론 이 책 대로만 하면 '세계는 평화롭고, 경제는 잘 돌아갔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관점 - 관점의 차이다. 높은 자에게 관심있는 사람은 높은 사람에 맞게 이론을 세우고 낮은 자에게 필요한 것은 '외면'해 버린다. 그것이 처음에는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 (관점 자체의 차이는) 두 개의 평행한 선이 만약 그것중 하나가 각도가 0.1도만 비뚤어지면 평행선이 길어질 수록 두 개의 거리 차이는 엄청나다. 1700년대에 모든 인간의 이익을 위해 만든 경제학은 2000년대에는 극심한 빈부차와 환경 파괴, 물질만능주의를 만들어내는 괴물이 되어 버렸다.

국부론은 기존의 봉건체제 안에서의 경제학을 뒤엎고 새로운 과학적인 정리로 학문의 체계를 잡았다. 또한 그 당시의 현실을 뛰어나게 묘사했으므로 틀림없이 유럽 전체에 sensation을 일으켰을 것이 틀림없다. 아담 스미스는 경제학자로서 뿐만 아니라 철학자로서도 풍자가로서도(의외로 웃긴 글이 있었다.) 뛰어나다. 인간의 이기심, 잘 살고 싶은 욕구에 바탕을 두었기에 이 책은 21세기에도 읽히고 있고,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이런 인간의 본성 Human Nature가 과도히 나타나고, 아니 그것이 높은 자의 그것들만 인정될 때 인간은 인간 자신이 만든 것에서 소외될 것이다.

아담 스미스에게 (그리고 이 땅의 이른바 '지식인'에게) 묻고 싶다. '높은 사람들의 재산 추구는 정당한 것이고, 낮은 사람들의 재산 추구는 '탐욕적인' 것인가?' '누구를 위한 평화, 경제, 학문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