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에서 중국까지 이산의 책 3
장노엘 로베르 지음, 조성애 옮김 / 이산 / 199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서양이 동양에게 가진 호기심 혹은 동양이 서양에게 가진 동경 등은 '제국주의'나 '문명에 대한 맹목적 동경'으로 여겨지기 쉽다. 사실 서양과 동양이 친하게(?)지낸 적이 역사상에 얼마나 있을까? 항상 수탈과 침략 아니면 상대방에 대한 무지에서 기인한 애정없는 비판....그러나 이 책은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한다. 1세기 초 중국의 후한, 인도 북부의 쿠샨, 파르티아, 로마 등 네 제국의 평화적인 교류에 대한 이야기이다. 무역이 자유롭게 왕래되고 서로의 황제에게 서신이 교류되며 서로를 평화적으로 우호적으로 인정하는 국제관계 - 저자는 동양과 서양의 네 강대국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이런 시기를 아주 '부러운'눈으로 쳐다보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중단되는 것은 왜일까? 아무리 나라간 교류가 활발하고 무역양이 많다고 해도, 그것이 몇몇 군주와 귀족들의 손에서만 이루어진다면 그것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왕은 계속 바뀌며 그 왕의 '취향'에 따라 교류는 계속될 수도 있지만 중단될 가능성도 있다. 중요한 것은 교류의 '제도화'아닐까? 그리고 민간교류를 활성화 시킨다면 두 나라 간에 마찰이 생기더라도 계속 교류는 이뤄지지 않을까?(요즘 우리 정부의 일본에 대한 감정이 상당히 안 좋긴 하지만 민간 교류를 중단시킨다면 그것은 우리 손해가 아닐지? 베트남 사람들이 한국사람들이 베트남전 때 한 일 때문에 한국을 싫어 했는데 몇몇 한국 연예인들의 인기 덕분에 베트남 사람들의 한국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우호적으로 변했다는 것을 생각해 본다.)

물론 이것은 전쟁이 없을 때 가능한 이야기이다. 그리고 1세기 사람들한테 그런 것 까지 바랄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국제 관계가 이 책에 나온 시기처럼 평화로운 때는 별로 없었다는 생각에서, 분명 이런 시기는 부럽기는 하지만 지향해야 할 것은 아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