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반양장) -전16권
박경리 지음 / 솔출판사 / 1993년 6월
평점 :
절판


박경리씨의 <토지>와 조정래씨의 <아리랑>은 정말 똑같은 시기를 다루면서도 참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갑오 동학혁명 이후에서 해방까지 우리나라 장편소설 아니 대하소설의 큰 줄기를 이루고 있는 두 저자에게 우선 경의를 표합니다. 저자의 환경에 따라 책 내용을 평가한다면, 참 편견이 많이 작용하기는 하지만 오늘 그렇게 해보고자 합니다. 여러 면에서 좋은 비교가 되는 것 같습니다.

우선 '전라도 남자'와 '경상도 여자'라는 것을 들 수 가 있지요. 조정래 씨 말대로 전라도가 '항상 억압을 많이 받아오고 그래서 욕도 거친 곳'이 맞다면 소설 내용에서도 그런 것 같습니다. <토지>에서 주인공들이 일제에 저항하는 방법으로 고민고민하다가 겨우 꺼내 놓는 것이 '친일파 돈을 훔쳐 독립군에게 주기'입니다. 그리고 그 내용을 서술하고 참 길상이나 기타 인물들이 '독립운동 열심히 했다'는 인상을 가지게 합니다. 그러나 경상도에서는 가장 '급진적인' 방법이 전라도에서는 가장 '개량적이고 편의적인(?)'방법이 됩니다. <아리랑>에서는 돈 훔치는 것은 예사고 일본인들을 상시로 죽이고 습격하는 것이 거의 소설의 다반사입니다. 이것을 양 지방의 기질차이로 돌린다면 글쎄 저는 너무 편견이 지나친 것인가요?

남자와 여자의 차이 - 그것도 조정래씨는 정말 절에서 태어난 그야말로 '밑바닥에서 올라온' 남자이고 , 제 생각이지만 박경리씨는 어느 정도 부유한 집에서 교육을 잘 받은 (그시절에 진주여고를 졸업했다는 것은 상당히 교육수준이 높은 것 아닌가요)집에서 태어난 것이라 생각합니다. 생각해봅시다. <아리랑>에서는 여자들이 하나같이 '수준이 낮거나 거만한'여자입니다. 조금 예쁘다 싶으면 강간을 당해 천박한 위치에 서게 되거나(수국이) 교육을 잘받은 여성은 이른바 신여성이라 하여 (아 이름이 생각 안나네, 왜 일본유학 가서도 사치스럽고 거만한 태도로 지내는) 여자들만 나와요. <토지>의 서희같이 완벽한 여자(얼굴도 예쁘고 성격도 착하고 그러나 사회계급도 높고 사람들의 존경과 두려움의 대상인)는 한 사람도 안보입니다.

내친 김에 조금 더 이야기 하자면 조정래 씨의 <태백산맥>을 보아도 <토지>의 서희와 같은 당차고 완벽한 여자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이지숙이 조금 가까울까? 한국전쟁시 피난을 가면서도 김범수와의 성관계에 집착하는 여자(역시 이름을 까먹었어요, 죄송...) 무당 소화, 강간당한 외서댁 등 모두다 한가지씩 결점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지요

이렇게 이야기하니까 <토지>에 대해서 상당히 제가 부정적인 것 같은데 일단은 맞습니다. 하지만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그 시대 특히 1890 - 1910년 대의 농촌 특히 경상도 농촌에 관해 묘사한 것은 정말 그 때의 농토에 제가 땡볕에서 일하고 있지 않나 하는 착각이 들 정도로 사실적이고 서정적이면서도 동시에 냉철한 묘사로 너무 감동적입니다. <토지> 16권중에서 사실 제일 핵심은 1부의 경상도 하동군 평사리 그 곳에서의 삶이 정말 이 소설을 한국문학 대하소설의 결정체로 올려놓지 않았을까요? (물론 간도와 만주에서의 김두수와 길상 등이 펼치는 숨막히는 첩보전 및 대결도 참 재미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야기하면, 전라북도 전주를 아시죠? <토지>에서는 전주가 '기생 봉순이가 창을 배우러 가는 문화적이고 양반적인 도시'로 묘사됩니다. 아주 적은 분량으로. <아리랑>에서는 전주는 (전주 근방에 완주나 그 근방을 포함해서)소작인과 지주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전주의 학생들이 수업거부등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지역으로 묘사됩니다. 이런 차이들은 저의 그냥 쓸데없는 편견때문에 생기는 것일까요 아니면 진정 두 작가의 가치관에 따른 차이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