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소수민족 살림지식총서 333
정재남 지음 / 살림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의 소수민족>은 중국에 존재하는 55개의 소수민족을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중국의 정치나 경제를 다룬 책은 많이 나온 반면, 소수민족 문제를 다룬 책은 그다지 많지 않았던 것 같아요. 하지만 최근의 티벳(시좡) 문제에서 보듯이, 소수민족 문제는 정치나 경제 문제 못지 않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게다가 중국의 소수 민족인 조선족은 사실 한국 사람들과 한 핏줄이기도 하니까, 소수민족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되겠지요.

이 책은 중국 소수민족의 분류와 특징, 종교와 문화를 설명한 다음에 중국 당국이 어떻게 소수 민족을 다루어 왔는지 설명합니다. 소수민족의 특징을 설명한 부분에서는 그동안 몰랐던 소수민족의 생활 모습을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리고 뒷부분에서는 소수 민족 문제와 조선족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벌어졌던 티벳의 강력한 저항을 떠올리면서 무척 인상깊게 읽었답니다.

티베트족, 위구르족, 몽골족 등의 소수민족과 중국 당국의 갈등을 보고 있으면, 제3자인 한국 사람 입장에서는 도저히 판단이 잘 서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소수민족 측의 입장을 들어 보면 충분히 그들이 독립과 해방을 이야기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의 입장을 들어 보면 그들도 나름대로 중국을 안정되고 균형감있게 발전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예전의 소련이 민족 문제를 잘 해결하지 못하여 여러 나라로 쪼개졌는데, 그렇게 나뉜 이후에도 계속 반목과 갈등이 있는 것을 보면 설사 중국에서 여러 소수 민족들이 독립을 쟁취한다고 해도 그 이후에도 계속 문제점들이 나타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실 한국인들에게 소수민족이라는 개념은 무척 낯선 것 같습니다. 한반도에서 단일(물론 단일하지 않다고 보는 학자들도 많이 있습니다) 민족으로 살아 오면서, 우리와 모습과 종교가 다른 소수민족들과 함께 살아 본 경험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하여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를 이해하면, 중국에 대하여 공부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한국에 계속 증가하고 있는 이주 외국인 문제에 대하여도 비교하며 생각해 보게 됩니다. 자신과 생활 방식이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 그렇게 쉽지만은 않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피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