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페미니즘, 서로를 알아 가다
양혜원 지음 / 비아토르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혜원 씨의 페미니즘에 대한 단상.

 

지인이 양혜원이라는 분이 기독교와 페미니즘에 관해 글을 쓰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 물어서 이분의 책을 보게 됐다. 결론부터 말하면 근본/복음주의자의 별거 없는 이야기 같다는 감상(기존 보수 기독교 담론의 반복)이다. 우선 나는 종교학과 여성학에 대해 잘 모르고, 그저 개인적인 감상에 가까울 것이다. 이 글은 한 감상이면서 의문이다.

 

먼저 양혜원 씨는 본인은 종교학과 여성학을 전공한 학자임을 강조해서 말하면서, 기독교와 페미니즘은 결국 길이 다르고, 그래서 근본적으로 같아질 수 없음을 학문적으로 검증했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게 에세이 몇 편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주제인지도 모르겠지만, 본인이 그렇다고 주장하니 그걸 믿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그냥 에세이라 양혜원 씨가 힘주어 말하는 페미니즘과 기독교는 다르다는 것을 학문적으로 학자적으로 논증한 글을 보기 위해 논문을 검색해봤다.

 

아마도 일본에서 학술 활동을 하시는 분이셔서 내 검색이 한계가 있으나, 양 씨의 박사 논문 주제는 “Lived Gender in the Confucian Culture of Korea: Lives of Park Wansuh (1931-2011) and Gong Jiyoung (1963)”, 2017이다. 논문 자체에 접근을 못해서 내용을 볼 수 없지만, 박완서와 공지영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 같은데, 이게 도통 기독교와 페미니즘의 기원을 다룰만한 주제는 아닌 것 같다고 느껴진다.

 

그리고 이어지는 학술논문 한 편을 둘러봤는데, 거기에서는 전통적인 여성성을 해체하고자 하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비판과 기고하는 글처럼 이슬람, 유교 페미니즘 등을 언급하면서 사례로 박완서와 공지영을 들고 있었다. 나는 박완서와 공지영이 한국 개신교, 페미니즘이라는 어떤 모집단을 대표할만한 사람인지 의문이 들었다.

 

다시 한 번 내가 느끼기에 이 책은 에세이고 양 씨가 주장하는 내용에 관해서 설득 당할 만한 논증이 있다고 느끼지 못했고, 거기에 부족함을 느껴서 읽어본 학술논문도 내가 과문한 탓에 그런지 그렇게 설득력을 느끼지 못했다. 양 씨가 사용한다는 자기서사방법론에 대해 잘 모르지만 내가 느끼기에 그 방법론은 어떤 사례기술적 목적을 위해 쓰일 방법론이지, 그게 그렇게 일반화될 수 있는 방법론인지는 모르겠다.

 

어쨌든 박완서와 공지영의 사례연구를 제외한 직접적인 경험 연구를 해서 자신의 주장을 옹호하고 논증하는 글은 내가 찾아본 자료에서는 없었고, 어떤 학자들을 인용할 뿐이었다. 그렇다. 첫째, 나는 양혜원 씨의 논증이 설득력 있는지 모르겠다.

 

둘째는 첫째와 이어지는데, 과연 양혜원 씨가 한국교회 연구를 했냐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분은 페미니스트는 기독교와 페미니즘이 다른데도 융합하려고 한다라는 식의 주장을 많이 하는데 과연 한국의 사례가 그럴까? 한국의 개신교 & 페미니즘에 속한 사람들이 교회에서 기독교의 근본 서사를 여성학으로 대체합시다!’라고 주장하냐는 것이다. 나는 지방에 살아서 모르겠지만 그런 운동이 한국 개신교에 유의미하게 포착되느냐, 그래서 기독교의 근본 서사가 해체될 지경이냐 묻고 싶은 것이다. 저런 구호가 나올 교회는 굉장히 극소수의 특별한 교회 몇몇이지, 한국 개신교라는 모집단을 대표할 사례는 아닐 거다.

 

내가 아는 바로, 교회에서 페미니즘을 얘기하면 한다는 이야기가 성폭력 없앱시다”, “전근대적인 성차별적 성경 구절 다시 해석합시다이 정도인 것으로 알고 있다. 양혜원의 문제 규정이 경험적으로 의미 있는지 궁금하다. “예수는 페미니스트다.”라는 구호를 가지고, 아무도 예수가 근대적 의미의 페미니스트라고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저런 구호는 기존 기독교에 평등사상을 고취하자는 구호이다.

 

끝으로 궁금한 건 이 책이 굳이 종교학과 페미니즘을 전공한 학자라는 권위를 내세우고, “학문적 검증 운운하며 쓸만한 글인지에 관한 의문이다. 양혜원은 내 종교가 더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판적인 이야기를 할 수는 있지만, 내 종교의 기반을 허물 생각은 없다.”, “그러나 기독교를 위하는 척하면서 두 전통을 혼합하려는 노력은 결국 기독교가 아닌 페미니즘에 봉사하게 되어 있다.” 등 이런 얘기를 서슴지 않고 하는데 이런 건 신앙 수기, 선언문, 대자보에 가까운 글이지, 종교학과 여성학을 전공한 학자가 기독교와 페미니즘이 길이 다른 것을 주장하는 글은 아닌 것 같다.

 

양혜원 씨의 주장은 학위라는 권위를 덧붙여 포장했을 뿐이지, 기존의 근본/복음주의에서 몇 발짝도 전진하지 못하게 느껴진다. “CCM에 뉴에이지 쓰면 다른 세계관인 기독교는 영적 전쟁에서 패배한다.” 그런 선언에서 주제만 바뀔 뿐이다. 그리고 글 속에서 자유주의 기독교 페미니즘은 근대적 토대주의일 뿐이라고 비판하는데 내가 보기에 양 씨의 주장은 중세적 토대주의, 근본주의적 토대주의 같다.

 

물론 유의미한 얘기들도 있었고, 신선한 부분도 있었지만, 총체적으로 논증은 부수적이고 호교론적 구호가 난무하는 이 글이 이게 굳이 학자라는 이름을 가지고 쓸 글인가 하는 의문을 지울 수 없었다. 이게 일기인지 뭔지 모르겠는 것이 제일 큰일 같다. 예를 들면 양혜원 씨는 기독교 세계관 운동, 복음주의 운동이 여성 인권 증진에 영향을 미쳤다고 하는데 이게 굉장히 수도권, 대졸 이상들에게 집중된 이야기인 건 아시는지 모르겠다. 또 구체적으로 어떤 경험적 변화가 있었는지도 서술하지 못한다.

 

헨리 나우웬, 유진 피터슨 같은 작가들을 통해 여성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다고 하는데 근거가 없다. ‘나우웬의 글은 여성적이다라고 규정하는데 무엇이 남/여성적인 것인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나우웬, 피터슨이 수입되고 읽힌 전후로 한국 복음주의 내부에 어떤 경험적인 변화가 있었는지 하나도 근거를 대지 못한다. 그냥 내가 그랬던 것 같으니까 그런 거다.

 

무조건 자기 서사 뿐, 자신의 경험뿐이다. <페미니즘 시대의 그리스도인>에서도 그랬다. 본인이 힘들 때 위로가 된 것은 페미니즘이 아니라 종교였다고 그러면서 종교가 더 좋다 하는 그런 수준이다. 이분은 내 경험상 종교가 아니라 페미니즘이 내 구원이었다는 분들께는 뭐라고 할까? 아마 둘은 길이 다르니 교회 다니지 말라고 할 거다.

 

예전에도 이야기했듯, “내 경험으로도 그렇지만 교회는 기본적으로 남녀가 평등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런 식이다. 저런 진술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 “아 그렇군요;;”밖에는 딱히 대답이 생각이 안 난다. 한국 복음주의가 여성인권에 기여한 적이 없다고 언급하면서 비판하는 김나미 교수의 연구에 대해서도 내 생각엔 이런 것도 있고 저런 것도 있었어. 잘못된 것 같은데?’정도로 시비를 걸 뿐이지 한국 복음주의가 경험적으로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실증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자기 경험을 들어 뇌까리는 정도다. 개인주의적 오류(individualistic fallacy)로 보인다. 돈도, 시간도, 잉크도, 종이도, 노력도 다 아까운 책.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음 2020-07-22 0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살짝 고민했습니다. 살까말까...ㅋ 전작에 비해 더 나은 생각이 나왔을까...하고요. 평가가 매우 매섭습니다^^

두크나이트 2020-08-04 01:04   좋아요 3 | URL
저는 개인적으로 양혜원 씨는 ‘학적인‘ 글을 쓰기보다는, 지극히 ‘개인의 경험에 긴박된‘ 글을 쓰는 사람으로 보입니다. 그게 단점 같습니다. 저는 지금 한국 기독교와 페미니즘에 기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양혜원 씨의 글은 그런 교착상태에서 하나의 갱신도 하지 못한다고 그렇게 생각합니다. 저의 천견입니다만,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