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이야기 비룡소 걸작선 29
미하엘 엔데 지음, 로즈비타 콰드플리크 그림, 허수경 옮김 / 비룡소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에 모모라는 책을 읽었다. 많은 시간이 지난 지금에도 그 제목과, 그 내용, 그리고 그 작가를 지금껏 기억하는 것은 아마도 무척이나 재밌었기 때문일 것이다. 모모라는 아이의 상상하는 놀이가 나는 너무 좋았다. 나도 오빠랑, 친구랑 항상 그런 놀이를 하고 놀곤 했으니까. 요 한장 깔아놓고 그것이 망망대해를 떠다니는 뗏목이라고 생각하면 정말로 무서운 기분이 들고 파도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다. 모모의 그런 놀이가, 어린 아이다운 상상력이 나를 끌어당겼다.
끝없는 이야기도 마찬가지이다. 어린아이의 머릿속에 가득 들어있는 상상들을, 그 싱싱한 상상들을 꺼내서 그대로 책에 적어놓은 것 같은 자유롭고 따스한 그 이야기는 정말 기분이 좋았다. 진주빛 비늘을 가진 행운의 용과, 밤에는 환상의 숲이 되고, 낮에는 사막이 되는 이상한 곳, 동화 나라를 지탱하는 여제, 아픈 여제를 위해 모험하는 올리브 색 피부의 아트레유, 환상세계는 결국 우리 세계와 연결되어 있고, 환상의 세계는 우리의 상상력으로 이루어지며 환상의 세계가 무너지면 우리 세계는 풍요롭고 아름다운 상상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속이고 상처주기위한 거짓말 만이 남는다는, 정말로 동화같은 설정이 더 가슴에 와닿는다. 미하일 엔데 씨는 자신의 작품들에서 항상 상상력의 소중함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 같았다. 아름답고, 기괴하고, 따스하고 즐거운... 상상력들이 결국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게 아닐까? 나는 내일 끝없는 이야기의 마지막권을 빌리러 갈 것이다. 그리고 언젠가는 나의 책 꽂이에 내 책으로 꽂아놔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