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 속의 인물에 대해 우리가 언급하고 말하는 것을 '호출한다.'라고 말한다고 한다. 사후에 조차 후손들에게 항상 불러내져서 제멋대로 미화되고, 혹은 폄하되고 왜곡되어 버린 사람들은 어떤 기분일까?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었다. 학술제가 끝나고 뒷풀이를 갔을 때, 선배가 그런 말을 했다. 역사 속의 사람을 '호출'하는 건, 그 사람 자체를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와 모습이 투영된 왜곡된 사람을 호출하는 것이라고... 어쨌거나, 선배도 김훈의 칼의 노래를 보고 감동을 받았다는 것이 기뻤다. 칼의 노래의 이순신은 김훈이 투영된 이순신이다. 삶이란 허무하고 또 허무하지만, 그안에서도, 그 허무안에서도 자신이 갈길은 가겠다고, 그안에도 인간이란 존재하고, 따스함이란 존재한다고... 이순신의 건조한 뇌까림에서 말하고 있다. 나는 잔뜩 부풀려지고, 미화되고, 영웅으로 떠받들여지는 이순신보다도, 고뇌하면서도 먼 곳을 바라보고, 슬퍼하고, 기뻐하는... 인간 이순신이 더 존경스럽다. 아무래도 먼 딴나라 사람보다는 곁에서 함께 숨쉬는 사람을 더 존경하게 되는 것이 당연하지 않는가. 나는 김훈의 이순신을 존경하고, 그런 글을 쓴 사색가 김훈을 존경한다.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아들의 죽음을 소식으로 듣고, 광에 가서 홀로 울었다는 부분이었다. 덕지덕지 포장되지 않은 간결하고 건조한 말투로, 그는 울었다고 이야기했다. 그 무심한 어조때문에 내가 그 글속의 이순신보다 더 많이 울어버렸다.

작가는 나이를 알 수가 없다. 용기와 열정 같은 젊은이의 마음과 냉정한 통찰력과 포용력같은 늙은이의 마음을 모두 지니지 않으면 제대로된 글을 쓰기는 힘들 것 같다. 김훈은 이미 불혹의 나이를 훌쩍 넘어버린 사람이겠지만, 나는 아직 겨우 그 반을 살았을 뿐이다. 삶의 허무를 꿰뚫어보기엔 아직 미숙하고, 겨우 밑도 끝도 없이 희망을 말할 뿐이다. 자전거 여행에서 그는 태어나고, 자라고 죽는 것을 이야기한다. 칼의 노래에서 그는 떳떳한 죽음을 그리는 이순신을 말한다. 이순신은 적을 막아 내는 것에는 열정을 가졌고, 그 적조차도 인간이고, 이 아군조차도 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통찰력이 있었다. 그래서 김훈의 글에서는 이순신의 나이를 짐작할 수가 없다. 그래서 김훈의 나이를 짐작할 수 없다. 그 건조함과 담담함이 그저, 많은 것을 보고 겪은 사람이겠구나... 하고 짐작하게 할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