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전 한 잔 밀리언셀러 클럽 4
데니스 루헤인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도서관에 갔다. 밀리언셀러클럽에서 데니스 루헤인 켄지와 제나로 시리즈 1편을 내주었다는 것은 알고 있었기 때문에 서가에서 쉽게 눈에 띄었다.

가라 아이야 가라, 비를 바라는 기도를 읽었을 때도 느끼는 거지만 이 시리즈는 참 헐리웃 스릴러 같다. 사회의 어두운 면, 부조리함에 대한 숙명론적인-이건 주인공의 독백에서도 나오는 말이다- 인식, 그 회색 사회에서 유난히 컬러풀하게 두드러지는 캐릭터들을 보자면 말이다. 죽을 위기에서도 농담을 쉬지 못하는 마초 탐정과 그의 아리따운 미녀 파트너, 듬직하다 못해 무섭기까지한 지원군까지... 그가 그려내는 인간들은 어딘가 영화속에서 훌쩍 뛰어나온 듯한 캐릭터들은 이 소설을 흥미진진하게 만들어주는 일등공신이지만, 한편으로는 어딘가 가볍다는 생각을 잊지 못하게 한다.

피해자들-혹은 가해자가 되기도 하지만 종국적으로는 악의에 희생당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소극적이며 피동적으로 그려져서 그들은 피해를 당하기 위해 이세상에 태어난 것 같다는 생각마저 든다. 이것은 주인공 1인칭 시점으로 그려져서 그런 면도 있다. 그러나 한껏 부딪혀 깨져버리는 것이 아니라 어쩌다보니 휩쓸리고만 가련한 사람들이라는 것이 나에게는 잘 동감할 수 없게 만든다.

그러니까 캐릭터가 나쁜놈-약한놈-착한놈으로 너무 확실하게 구분되는 느낌이랄까.. 사회에 만연한, 생활화된 부조리에서 비롯된 극단적인 비극 내에서, 캐릭터들의 갈등이 나에게 쉽게 다가오지 않았다. 앞에서 말했다시피 1인칭 시점 때문일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여기의 캐릭터는 고통과 갈등으로 변화하는 면이 없다. 주인공들은 어차피 처음부터 강했고 거칠었다. 악당은 그냥 악당이었고 피해자는 그냥 피해자였고.. 그래 부바는 그냥 부바고 리치는 그냥 리치지. 앤지가 결국 필을 차버렸지만, 글쎄. 앤지는 강인한 여자였잖아. 처음부터. 마치 유예기간을 주고 있는 것처럼 보일정도로.

사람은 원래 쉽게 변할 수 없는 법이지만 말이야. 스토리 상으로는 확실히 기승전결이 있는데, 캐릭터 시점에서 보자면 그냥 일직선인 것 같아 보인달까. 그래 이해할 수 없게 뜬금없이 변해버리는 캐릭터도 웃기긴 하지만, 시리즈물의 첫편이고 캐릭터 극이니 일관성 있는 캐릭터가 중요하기도 하겠지만, 그렇다면 이 편에만 나오는 캐릭터에게라도 변화할 기회를 주었어야 하지 않을까? 그래, 그런 점에서 이전 편들에 비해 마음에 든 점이 하나 있다. 롤랜드. 그는 아직 변화하지는 않았지만 곧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증오와 악의에 몸과 마음을 내던지기 전에, 이번 일을 한 번 더 생각하게 되겠지.

나는 미야베 미유키의 글을 좋아하는 이유가 있다. 그녀는 범죄를 그리면서, 범죄 자체보다는 범죄로 인해 변해가는, 변해갈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는 것에 탁월하다. 만약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면 다른 무엇보다 그런 시각이 필요한 게 아닐까 생각한다. 범죄가 사회에 문제인 이유는, 그것이 사람들을 어떤 방식으로든 변화시키기 때문일 테니까.

ps. 그렇다고 이 책이 재미 없었다는 건 아니다. 재미 있었기에 리뷰가 이렇게 길어지는 거고 시리즈 나오는 족족 찾아 읽고 있는 것이다. 변화하지 않는, 비현실적인 만큼 매력적인 캐릭터들이 산재해 있고, 사건은 흥미롭게 진행되는 데다가, 날카롭게 다듬어진 글 또한 눈길을 끌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