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촌 탐닉 - 북촌 10년 지킴이 옥선희가 깐깐하게 쓴 북촌 이야기
옥선희 지음 / 푸르메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약속 때문에 잠실 영풍문고에 갔다가 후다닥 해치운 책.

북촌 토박이... 라고 할 수는 없지만 아무튼 북촌에서 태어나 여전히 종로구를 헤매고 있는 주민의 입장에서... 왠지 기분 떨떠름하고 우울하게 만드는 책이다. 이 북촌이라는 곳은 그나마 서울에서 변화가 가장 느린 편에 속하는 곳이지만 확실히 예전에 비해 많이 변하고 말았다. 그 변화를 그려낸 것이 바로 이 북촌 탐닉이라는 책이다. 실제로 빨래터에서 빨래하는 엄마 옆에서 가재잡고 놀고, 삼청공원에서 개구리잡고, 골목길에 내어놓은 연탄으로 눈사람 만들며 놀았던 시절이 바로 엇그제 같은데 어찌나 이렇게 빨리 세상이 변하는지... 우리집 있던 골목은 전부 옆집 한정식집의 주차장이 되었으니 이거야 말로 현대식 상전벽해다.

한옥보존지구로, 낡은 한옥에 손도 못대고 끙끙 앓던 시절부터 한옥보존지구가 철폐되어 우후죽순으로 빌라가 들어서던 시절을 건너 북촌지구(?) 비슷한 이름으로 한옥 짓기를 진흥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어 게스트하우스며 카페며 기타등등 주택가에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잔뜩 들어서기에 이르기까지 그 모든 변화를 지켜보고 어떤 것은 안타까워하고 어떤 것은 그러려니 하고 어떤 것은 반가워하였지만... 그걸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 보자니 마음이 떨떠름한 모양이다. 이 글을 지은 지은이에게는 북촌이, 변화하는 북촌이 마음에 들어 선택한 곳이라면 나에게는 내가 일부러 정한 것이 아니라 운명과도 같이 만난(태어나는 장소를 스스로 정할 수는 없으니 말이다) 고향이니, 그 무게가 다른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나에게는 뭐랄까 영원히 함께 가야할, 지긋지긋하지만 미운정고운정 다 들어서 떼어낼 수 없는 그런 동무 같은 곳이다. '탐닉'이라는 말 자체가 이해가 안 된달까. 그렇게 탐닉하지 않아도 곳곳에 모르는 곳이 없어서 아는 곳 하나하나 새삼스러운 설명을 읽자하니 간지럽다.

한편으로는 근래에 우후죽순으로 생긴 모르는 카페, 박물관, 선원 등의 소개가 낯설고 여기가 우리동네인데... 하는 소외감도 들고 이제는 그 곳에 속하지 않는 것 같은, 내쫓긴 것 같은 안타까움도 느껴진다. 그러나 관광가이드로 치자면 그래도 이제껏 나온 다른 가이드북보다는 꼼꼼하게 설명되어 있는 편이렸다. 옛것부터 근래의 것까지 꼼꼼하게 설명하고 자신의 감상과 객관적인 평을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니 만약 북촌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 읽어볼 만 하겠다. 용기가 있다면 뭐, 책 하나 들고 직접 찾아 돌아다녀보아도 좋으리라.

여전히 나는 종로구 .. 그것도 북촌에서 5분 거리인 경운동 주민이다. 먼데 사는 친구들은 가끔 사람들 별로 없는 가회동-수도약국 뒷길이며 삼청동 감사원길이며, 골목골목을 안내하면 좋아라 한다(발도 아파하지만). 아파트며 네모반듯하게 구획진 주택단지가 이제는 더 익숙하기 때문일 것이다. 경사진 언덕이며 좁은 골목길 사이로 촘촘히 들어선 작은 집들은 예쁘게 꾸며져 있지 않아도, 아리따운 한옥이라거나 신기하게 생긴 신식 건물이 아니더라도 그들만의 아우라를 품고 있다는 것이 사실이고(살기에는 불편하지만) 아마도 이 책의 저자도 북촌의 그러한 점을 소중히 여기고 탐닉하고 있는 것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