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을 쫓는 자
로저 젤라즈니 지음, 김상훈 옮김 / 북스피어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로저 젤라즈니의 작품이라고는 저주받은자 디비쉬랑 전도서에 바치는 장미밖에 없지만, 그래도 꽤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쓰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멋진 남자에 대해서는 엄청난 내공을 발휘하시는 듯. 별을 쫓는자는 신화SF라고 하고, 어슐러 르귄의 어둠의 왼손에 대한 젤라즈니식의 답변이라는데 솔직히 말하자면 별로 동감은 안간다. 내가 보기에는 전혀 별개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어둠의 왼손은 상당히 사회적이랄까 문화적이랄까, 기의 비행 같은 것에서도 그렇지만 어슐러 르귄은 인류학자 같은 느낌으로 세계를 그려내는데, 젤라즈니는 다분히 개인적이며 내면적인 이야기를 쓴다. 다른 것은 몰라도 별을 쫓는자는 특히. 신화적인 메타포를 활용했다고 해도 그 신화적인 경험은 빌리 내부의 경험이고 빌리의 개성과 내면의 갈등을 보여주는 장치이다. 민족전체에 대해서라든가 문화 전체에 대한 조망보다는 개인의 내면에 대한 깊이 파고들기랄까. 한 사람의 캐릭터를 그려내는데 집중한느낌.
전혀 다른 분야, 다른 시각의 것을 비교하는 건 너무 뻔하고 재미없는 일이라고 생각해.
내가 어슐러 르귄빠이긴 하지만 젤라즈니는 젤라즈니 나름의 멋이 있거든. 고독한 늑대같은 주인공이랄까. 게다가 변신외계인이 나와! 너무 좋아! 안그래도 그런 종족 하나를 생각하고 있는 와중이라서... '변신'이라는 것은 이 소설에서 상당히 큰 의미를 갖는다. 변화하면서도 살아남아갔던 나바호족, 자유자재로 변신하지만 자아를 가진 괴물... 뭐 결론을 내린다거나 다른 것을 생각하기에 일은 너무 많고 난 그저 재밌게 읽었을 뿐이고... 변신이라는 것처럼 인간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건 없다고 생각해. 그러나 자아에 대한 집착(?) 같은 것이 있기 때문에 변신에 매력을 느끼는 만큼 오히려 두려움을 느끼기도 하나봐. 우리의 캣은 그 이름만큼이나 아름답고 위험한 존재이다. 나한테는 좀 사랑스럽기까지 해서... 빌리랑 친구를 먹음 좋겠다는 생각까지 하게 될 정도였는데.. 글쎄 역시 그건 꿈속의 이야기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