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2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생각해보니 책을 읽긴 읽었더랬다. 레포트 쓰다가 지겨워 학교 전자도서관 시스템을 통해 이북으로 읽었지... 그림 설명이 최소 60%이상을 차지하는 이 소설이 어째서 베스트셀러인 것인지는 잘 이해가 안 가지만 드라마를 보면서, 음 그림에 대한 해석을 말하는 부분이 컴퓨터 그래픽이랑 어울어져 꽤나 마음에 들게 만들어졌다고 생각하긴 했다. 추리적인 요소가 있긴 하지만 그림설명하듯 설명하는 것으로 풀어져 맥이 빠졌고, 김홍도의 짝사랑(?)은 글쎄. 이 멋진 로맨스 설정으로 그것만큼 밖에 표현이 안되냐! 버럭하고 화를 내고 싶었지만 김홍도의 감정은 아무래도 연애감정보다는 한 천재가 다른 천재에 대해 갖는 동경이나 갈망에 가까운 듯하다. 허니와 클로버에서 하구미가 모리타 선배를 보며 느끼는 감정정도?(비유를 해도 꼭.. ㅡ,ㅡ;) 드라마의 순진한 닷냥커플(?)과 달리 소설상에서의 윤복과 정향은 진도를 확 빼버리는데... 정향이야 윤복을 남성으로서 사랑하는 거라고 하지만 윤복은 어떤 것일까. 여성 게이로서 정향을 사랑했던 것일까. 아니면 어릴 때부터 남성으로 길러져왔으니 남성이라는 정체성을 갖고 있었던 것일까. 김홍도가 그러했던 것처럼 아름다운 인간에 대한 찬탄과 갈망과 비슷한 감정이었을까. 셋다 뒤섞인 거 같기도 하고... 그런 것치고는 의외로 담백하고... 신윤복이라는 인간이 너무 담백, 시니컬하게 그려져 있어서 주 줄거리여야 할 아버지를 살해한 자에 대한 복수가 맥이 빠진다. 약간 휩쓸리듯 죽었고 역사적 흐름에 비추자면 사소한 것일지도 모르지만 신윤복 자체에 있어서는 커다란 문제일 텐데 극적으로 느껴지지 않은 까닭은 범인이 뻔하고, 추리과정이 설명식이고, 주인공들 반응이나 심리묘사가 미묘해서가 아닐까.
소재는 마음에 드는데. 소재는... 중얼중얼... 로맨스 소설 하나 나올 것 같은데... 패러디나 써봐야하는 걸까... orz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