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자폐인의 시점에서 세밀하게 그려낸 이야기. 이 자폐인의 경우에는 어느정도 사회화 훈련을 받은 것이라서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의 괴리를 더 크게 느꼈을지도 모르겠다. 실제 병으로서 자폐가 아닌, 그저 자폐적인 측면이라면 일반인에게도 어느정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가 시술을 받고 비자폐인이 되고나서 예전 자신의 모습에 괴리를 느끼는 것, 단절감을 느끼는 것도 뭐랄까 묘했다. 화성의 인류학자를 볼 때 느낀 점이랄까. 사회가 복잡해지고 인간감정도 더 세밀화되었다. 어떤 사람은 그러한 감정의 층위와 형태 같은 것을 세밀하게 캐치해내지만 어떤 사람은 영 해내질 못한다. 보통은 둔감하다거나 이기적이라거나 무례하다는 이야기를 듣는 축이다. 자폐인인 루는 언제나 그런 인식을 받으며 살아간다. 그 스스로도 좀 무서울 것 같다. 안간힘을 쓰지 않으면 일말조차도 이해할 수 없다. 아니 '이해'한다는 건 터무니없는 소리일지도 모른다. 추측해볼 뿐. 비자폐인이 된 루의 눈에 다른 사람의 얼굴 표정이 단순한 패턴이 아니라 다양한 감정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은 참 신기하다. 우리들은 둔감해진 걸까. 다른 사람의 얼굴을 가만히 들여다본적이 없어서일까. 나는 그런 신기한 감각, 동감한달지 감정을 이해하는 그런 감각을 맛본적이 별로 없는데 말이지. '다름'을 '다름'으로 받아들여줄 수 있으면 좋겠다. 왜 너는 못하니, 라는 말을 듣지 않을 수 있으면 좋겠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자폐인인 루도 사회적응을 위해 엄청 노력해서 그룹을 이루고 삶을 이루는데 나도 엄청 노력하지 않으면 안되겠지. 아, 인생은 언제나 고달플 뿐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