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3부작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렇게 이야기를 의심하게 하는 이야기가 싫어. 이야기의 존재, 본질 자체를 뒤흔드는 이런 글쓰기 방식이 싫어. 그렇지만 매혹적인 건 사실이지. 파멸하고 마는 작가의 이야기가 소름끼쳐. 폴 오스터는 그런 걸 좋아한다. 완전히 밑바닥까지 내려가서 존재조차 잊혀지고 마모되어버린 상황의 이야기를 너무나 선연하게 잘 표현해낸다. 중요한 문제는, 그 이야기조차 이야기 속에서 사실인지 아닌지 의심하게 만든다는 것. 작중에 세르반데스의 돈키호테 이야기가 걸맞는 것 같다. 세르반데스는 돈키호테의 이야기가 사실이며 자신은 번역한 것일 뿐이라고 우긴다는데, 그렇게 사실을 주장함으로써 더 그 이야기가 혼돈 속으로 빠져들게 만든다. 사실임을 주장함으로써 더 그 존재가 허구적인 이야기로서의 정체성이 파괴되고 흔들리게 되고 만다. 유리의 도시와 유령들의 이야기가 맨 마지막 잠겨있는 방과 연결될 때, 허구지만 엄연히 실존하는 것으로 감정이입되었던 그 두 작품 속의 인물들은 허구 속의 허구가 되어버린다. 아니, 이미 유리의 도시나 유령들 자체가 그러한 허구, '이야기'의 존재 자체를 흔드는 구조로 이뤄져 있긴 하다. 노인을 추적하면서 그 노인의 이야기를 노트에 담아내다가 결국 그 노트에 먹혀버린듯한 '퀸', 서로를 감시하며 이야기를 써내려가다 종국에는 서로의 삶 마저 바꿔치기 할 뻔한(내가 읽은 게 맞다면) 블랙(화이트)와 블루.. 이야기가 사람을 잡아먹고, 사실이 허구가 되고, 허구가 사실이 되며 객체와 주체가 서로 바꿔치기 되는 것. 정말이지 사람 혼란스럽게 하는 소설이다. 그러니깐 내가 새벽 4시까지 잠을 못자고 회사 와서 코피나 흘리고 있는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