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체의 증언
사이먼 베케트 지음, 남명성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원제대로라면 The Chemistry of Death이니 죽음의 화학작용이랄까.사실 실제 CSI처럼 법의학을 통해 범인을 잡는다는 느낌은 아니다. 사체의 증언이라지만 사체가 그렇게 많은 증거를 남긴 것은 아니다. 그 밖의 다른 요소들을 종합해서 범인을 추리해냈을 뿐이다. 그것도 꽤 우연히. 그렇지만 여기서 법의인류학이 아무런 역할도 못하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사체의 연령과 성별, 살해 수단 등 꽤 많은 것들이 나온다. 뭐 그것만으로는 택도 없이 부족하긴 했지만. 그 무엇보다 여기서는, 법의인류학을 통해 사람이 죽고 나서 겪게 되는 그 화학반응들을 적나라하게 설명하고 묘사하면서 사람이나 생명이 얼마나 신기한 것인지 드러내는 것 같다. 죽음에 대해 명쾌한 답이나 새로운 고민거릴 던져주진 않는다. 솔직히 헐리웃 스타일의 뻔한 해피엔딩도 별로란 느낌이다. 그치만 '죽음의 화학작용'이란 게 참 인상적이었다. 신비롭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범인이 불쌍하다. 진짜 불쌍하다. 그냥 말려든 거잖아. 그거. 책임이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정말 주변에서 누가 나서서 도와줬더라면, 뒤에서 불쌍하다고만 하지 말고 상처입힐 걸(혹은 입을 걸) 두려워하지 않고 나서서 감싸주었더라면 이런 불행은 안 생겼을 텐데. 잘못은 잘못이지만. 정말 나쁜 사람은 아닌 범인이 자살해서 사건이 종결되는 건... 왠지 잘못에서 도망치는 거 같아서 싫다. 그런 식으로 끝맺는 게 무지 많은데, 성의 없어 보인다. 하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