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자비들
데니스 루헤인 지음, 서효령 옮김 / 황금가지 / 2024년 11월
평점 :
* 이 글은 서평단에 선정되어 주관적으로, 그러나 진심을 담아 작성한 글입니다.
‘상업’영화 원작 소설의 공통점은 매혹적인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말인즉슨, 영화화가 자주 되는 작가의 작품은 흥행과 무관하게 ‘읽는 재미’ 측면에 있어서는 보장이 된다는 말이겠죠. 하물며 흥행도 자주 했다면 금상첨화일 것입니다.. 오늘 리뷰할 데니스 루헤인의 ‘작은 자비들’이 이 모범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여기 돌연 실종된 딸을 찾는 엄마가 있습니다. 그녀는 사우디(미국 사우스 보스턴)에 사는 아일랜드계 이민자인 메리 패트. 첫번째 남편과는 사별하고 두번째 남편과는 이혼하였으며, 베트남전 참전 제대군인인 아들은 PTSD와 마약으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그녀에게 유일하게 남은 것은 딸 ‘줄스’ 뿐입니다. 사우디의 학생들은 ‘버싱’이라는 정책, 즉 흑인과 백인 학생이 학교를 바꾸어 통학하는 공립학교 내 인종차별 폐지책의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 그녀는 혹여나 딸이 피해를 받을까 버싱 반대 시위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딸까지 사라지자, 그녀는 큰 슬픔에 빠집니다. 그런데 그 다음날, 어기라는 이름의 한 흑인 청년이 메리 패트가 사는 지역에서 참혹하게 살해당합니다. 자신의 딸이 이 현장에 있다는, 또한 자신의 품에 돌아오지 않으리라는 불안감에 그녀는 절실한 마음으로 주변을 탐문하던 끝에 딸의 실종과 어기의 죽음에 얽힌 비밀을 풀어줄 열쇠를 보스턴을 장악하고 있던 마피아가 쥐고 있다는 진실에 맞닥뜨리게 됩니다. 아일랜드인의 야성의 피를 물려받았으며, 거친 환경에서도 절대 굴복하지 않았던 그녀는 죽음을 각오한 복수에 나서게 됩니다. 과연 그녀는 딸의 복수에 성공할 수 있을까요?
이 소설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폭력으로 딸을 잃은 엄마의 복수극’입니다. 자극적이지만 작가에게 있어서는 아주 매혹적으로, 이 주제를 택한 작가들은 대부분 ‘복수’라는 행위의 폭력성과 ‘엄마’라는 행위자의 감정이입에 주로 초점을 맞추며, 이는 독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안전한 선택일 것입니다. 복수에 성공까지 하게 된다면 읽는 이의 만족은 배가될 것입니다. 여기에 더해 이 복수가 개인의 일탈이 아닌, 비극에 책임이 있는 이 사회에 대한 정당한 대응임이 인정된다면 소설의 내러티브는 아름다울 뿐 아니라 정의로움까지 얻게 될 것입니다.
책의 초반부에서는 이 정의로움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어머니 페리 메트의 버싱 반대 시위 참여는 사명감이 아닌, 딸의 안전을 위한 개인적인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딸의 실종 기간이 길어지는 동안에도 그녀의 관심은 개인의 차원에 머물러 있을 뿐, 알고 보니 직장 동료의 자식이었던 흑인 청년의 사망 사건도 그녀에게는 단지 ‘잠시의 애도 대상’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던 그녀가, 딸의 실종을 둘러싼 미스터리의 벽을 힘겹게 부시다, 결국에는 공기와 같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던 이웃사촌과 사우디가 실제로는 이기적인 백인 우월주의와 마피아의 부당한 지배와 야만에 가까운 무질서에 오염된 것들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녀는 마침내 딸의 실종이 불합리한 사회에 대한 무관심에 가까운 중립적인 자신의 태도 때문이었음을 받아들이게 되고, 처절하게 자책하며 지옥행을 마다하지 않는 복수극을 실행하게 됩니다. 그녀의 분노와 결심을 진심으로 응원하게 되는 우리 독자들은, 그러나 복수의 끝이 좋지 않으리라는 것을 예감하고 있습니다. 복수에 성공하던 실패하던 죽은 사람은 살아 돌아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우리에게 남은 것은 있습니다. 그녀의 딸에 대한 사랑의 진심과,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개선되지 않고 있는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의 환기입니다.
실제 그 시행 기간 동안 각종 논란을 야기하고 백인계 인구가 공립학교 등록을 기피하고 교외로 이동하는 반면 비백인계 인구는 오히려 도심으로 이주하며 지역의 경제/인종 구성까지 바꾸게 했던 버싱은 2013년 보스턴을 끝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이 당시 비백인계 주민들이 ‘자녀들이 수준이 낮은 학교에 강제로 배정될 수 밖에 없다는 이유로 강하게 반발하며 버싱의 유지를 주장’했다는 아이러니한 사실을 끝으로 이 소설의 리뷰를 끝맺고자 합니다.
#작은자비들 #데니스루헤인 #황금가지 #도서협찬 #도서제공 #서평단 #책추천 #서평 #책리뷰 #책읽기 #독서 #독서리뷰 #문학 #소설 #장르소설 #도란군 #도란군의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