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연하기 싫어서 초연하게 - 반투명한 인간의 힘 빼기 에세이,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김영 지음 / 카멜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누구지? 누구였지? 왜 여기에 있는거지? 왜 살고 있는거지?’ 이 질문에 모든 것이 흔들리는 순간 그동안 세상을 살아왔고 지금도 살아가고 있는 “나”는 송두리째 흔들리게 된다. 자신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고 오래 사는 삶이 행복할 수 없고, 희망하는 삶과 절망에 머무르는 삶의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마음 한켠이 무겁고 어둡고 힘들 때 이 책을 만났고 그냥 읽었다. 큰 선물같은 위로도 아닌데 다 읽고나서는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천천히 위로를 받은 느낌이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공감이 되었던 것은 본인 스스로 바뀌어야 될 필요성을 느껴야 한다는 점, 그리고 내의사가 상대방입장에서는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니라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것에 중점을 둬야 하는 것. 이 문구가 무척이나 와 닿았다. 상대방의 거절은 나를 싫어하는 것이 아니라 그 때의 상황과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을 수도 있기에 거절은 곧 상처 그리고 단절을 말하지는 않는다. 말하지 않아서 생기는 오해나 지레짐작으로 결론 내버리는 것은 의사를 명확히 표현함으로서 상대가 내 의사를 인식하게 끔 만드는 것이 나를 바꾸는 첫 번째 발걸음이 되지 않을까.

 

읽는 동안 자신을 돌아보고 오랜동안 나를 위해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심신의 지침으로 인해 많이 지쳐있던 내게, 나는 그동안 얼마나 스스로를 위로하고 보듬어줬는지, 누군가를 위로하듯이 스스로를 위로한 적이 있었는지, 마음이 부자였던 적이 있었는지 책을 읽는 동안 스스로에게 던진 메시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