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New 내 월급 사용 설명서 - 배고픈 월급쟁이를 위한 달달한 재테크
전인구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4월
평점 :
몇권의 경제서를 읽으면서 느낀점은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고 투자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쉽게 설명되어 있는 용어들을 자주 접해 나만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설명할 수 있을 만큼 읽고 기억해 낸다면 어려운 경제도 쉽게 다가오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조심스레 한다.
“내 월급사용설명서”는 돈을 관리하는 방법에서부터 재테크에 이르기 까지 전반적인 흐름을 설명하고 있다. 재테크를 시작함에 있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점은 자신의 재무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자신의 투자성향과 소비패턴은 본인이 가장 잘 알겠지만 객관적인 데이터분석이 힘들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것도 도움이 된다.저자는 가장 먼저 가계부를 작성하여 자신의 소비형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요즘 좋은 가계부 어플도 많아 문자메시지로 카드사용내역이나 입출금 내역 등이 자동으로 어플로 전송되어 조금만 신경쓴다면 어렵지 않게 관리할 수 있다.
가계부를 작성하고 자신의 상태를 점검했다면 불필요한 지출을 막기 위해 통장은 월급통장, 생활비통장, 투자통장, 비상금 통장으로 나눠서 관리하며 예금이나 적금 등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해약할 경우를 대비할 수도 있고 돈이 모이는 재미도 쏠쏠한 풍차돌리기를 권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잣돈을 모으고 그것을 토대로 재테크를 시작하는 단계로 옮겨간다.
경기는 일정한 주기의 흐름을 5년 내지는 10년 단위로 반복된다. 회복기에는 주식이나 부동산의 비중을 높이고, 호황기에는 채권의 비중을, 후퇴기에는 안전자산(금)의 비중을, 침체기에는 현금을 비중을 높인다. 그런데 이런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경제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의 흐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경제관련 도서 및 인터넷등을 통해 이 흐름의 맥을 정확히 짚을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
워렌버핏은 투자의 원칙은 기본에 있다. 어떤 일이든 마찬가지겠지만 일을 새로 시작하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관찰이다. 그다음이 분석인데 초보자의 경우 이 단계를 건너 뛰게 되니 제대로 된 투자가 되지 않는 것이다. 그 결과 정보의 부족으로 자신이 가입하고자는 상품의 장단점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본의 흐름이나 세금 그리고 시스템적 불균형으로 인해 투자한 만큼의 결과를 만들어 내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경제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고 기업의 재무상태를 정확히 알지 못하고 환율정책에 민감하지 못하면 투자는 반쪽짜리 투자일 수 밖에 없다.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하면서도 수익률에서 최고를 달리는 워렌버핏. 경기침체상황과 경제가 활발한 상황에서의 투자방식 그리고 주식 및 부동산, 절세방법 등 제테크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할 내용들을 설명하고 있어 자칫 놓치기 쉬운 부분들 그리고 이제 투자를 시작하는 단계라면 “내 월급 사용설명서”는 좋은 교과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