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 - 2015 제39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구병모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3월
평점 :
구병모 작가님의 신작. 알라딘 알림을 듣자마자 바로 질렀다.
오랜만에 읽는 작가님의 책이라 설레면서 책장을 펼쳐드는데 문득 어딘가 다르다는 느낌이 들었다. 풍이 살짝 바뀐 것 같은……. 그래봤자 작가님이라 분위기 자체는 딱 구병모 작가님이구나 하는 냄새가 묻어나서 반가움을 느꼈다.
적절한 곳에서 끊지 않고 긴가민가할 정도로 이야기를 이어나가는 필체는 언뜻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떠올리게 만들고 짧은 소설들마다 끝이 모호하게 끝나는 점은 온다 리쿠의 단편 소설들을 떠올리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중간 중간 느껴지는 판타지인 듯 판타지가 아닌 느낌과 독특한 등장인물들의 이름 등에서 이 책은 확실히 구병모 작가님의 책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는 표지 때문에 산문집인 줄 알았다.
그래서 이 작가가 산문집도 냈네 하고 호기심이 생겼지만 곧 왼쪽 귀퉁이에 작은 글씨로 구병모 소설집이라고 써져있는 걸 보고 납득했다.
책은 전체적으로 아주 짧은 단편들로 이루어져 있다. 단편 소설보다는 조금 더 짧은 분량으로 보인다. 짧은데다가 제각각 현실과 환상을 모호하게 만드는 특유의 분위기와 흡입력 있는 표현으로 한순간도 지루하지 않았다. 단편 소설들을 읽다보면 다음 이야기로 넘어갈 때 잔뜩 집중해있던 머리가 한순간 흐려지기 마련인데 물론 이 책도 그러지 않았다고는 말 못한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한 장 이상 넘기지도 않고 바로 새로운 집중력과 흥미가 샘솟았다.
보통 단편보다 장편을 좋아하기는 하지만 이 작가님은 단편소설도 장편만큼 아니 오히려 그보다 더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작가님이다.
문장도 좋고 다른 사람과 확연히 비교가 되는, 자신만의 색채가 묻어나는 글을 쓰고 그 글 속에 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소설들을 볼 때마다 바로 이런 사람들이 작가가 되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상황도 장소도 알맞지 않은 데다가 맥락도 닿지 않으며 어쩌면 혼잣말로 중얼거리는 데에 가까웠지만 나도 모르게 녀석의 감은 눈을 내려다보며 물었다. 너 그때 아파트에는 왜 올라간 거냐? 아니 내 말은, 15층을 정복하고 나면 그만둘 생각이었냐고. 친구들은 이 새끼가 지금 정신이 있어 없어, 책망하듯이 눈짓하면서 내 옆구리를 찔렀으나 하이는 눈 감은 그대로 입을 열었다. 그만뒀을지 더 했을지는, 올라가 봤다면 그때 생각했겠지. 결국 못 올라갔으니 소용없는 일이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