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의 심연 - 뇌과학자, 자신의 머릿속 사이코패스를 발견하다
제임스 팰런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뇌 과학자가 있다. 그는 아주 다정한 남편이고 세 아이의 아버지이다. 단 한 번도 누군가를 해친 적이 없고 폭력적인 것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 그가 어느 날 가족들의 뇌를 스캔한 사진들 중에서 사이코패스의 뇌를 발견한다. 그는 단순히 그것이 어딘가에서 섞였겠지 생각한다. 하지만 이윽고 그것이 자신의 뇌 사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사이코패스는 태어나는 걸까 만들어지는 걸까. 그들은 영원히 살인자일 수밖에 없는가.
사람들은 왜 사이코패스를 두려워하는가.

평범하게 살아가던 제임스 팰런은 자신이 사이코패스의 뇌를 가지고 있다는 걸 알고 자신의 뇌와 과거, 그리고 사이코패스에 대해서 흥미를 느낀다. 그는 자신을 철저하게 조사해보기로 한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책이 바로 이 책이다.

나는 살인마들, 특히 사이코패스에 대해 관심이 아주 많다. 그들이 저지른 범죄들, 그들의 머릿속 생각, 그들의 과거.
그들이 저지른 극악무도한 범죄를 옹호하거나 동경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괴물들이 과연 어떤 존재인가가 항상 궁금했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나는 사이코패스=괴물 이라는 공식을 마음에 새기고 있었다.

내가 과학자나 과학, 심리 분야에서 종사하는 전문가가 아니라서인지 이 책을 읽기가 조금 힘들었다. 남들이 다 아는 것, 혹은 대학교 수업에서 들었던 말들. 이드나 에고, 뉴런 등은 무슨 말인지 알 수 있었지만 전두피질 등은 아무리 읽어도 이해가 가지를 않아서 수 없이 읽어 내려야만 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그런 복잡한 전문용어들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쉽게 설명한 말들이나 저자의 일화등도 있어서 꽤 재미있게 읽었다는 거다.
그래도, 읽다보니 이해가 안 되던 것들도 대강 이해가 되긴 했지만.

내가 사이코패스들을 완벽하게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그들 또한 인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내가 그들이 범죄자가 아닌 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도.

나중에 밑줄을 그으면서 다시 천천히 읽어봐야 할 것 같다.

당신이 나를 만나는 데 동의한다면,
우리는 마침내 친구가 될 수도 있다.
시간이 가면,
나한테서 당신의 심기를 거스르는 것들이
당신 눈에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나는 이따금 거짓말을 하다 걸리거나
때때로 당신이 초대한 행사에 나타나지 않아서
당신을 실망하게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의 가벼운 자아도취증과
주기적으로 발병하는 이기주의에도,
우리는 함께 즐겁게 지낼 것이다.
결국에는, 나도 원래는 보통 남자이기 때문이다.
다만 한 가지,
내가 경계 사이코패스라는 점만 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