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꽃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와 <호출>과

<엘리베이터에 낀 남자는 어떻게 되었을까>와

<검은 꽃>은 도대체 어떻게 연결되는 걸까?

 

<나는 나를...>를 읽을 때 <검은 꽃>을 상상이나 했을까?

<나는 나를...>을 쓸 때 <검은 꽃>을 예상했을까?

<아랑은 왜>랑은 연결고리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술술 읽히기는 하나 그닥 애닯지는 않았던, 그래서 사실 기억도 잘 안 나고

그 흔한 주례사 비평이 없는 것만 그저 신기했던 <아랑은 왜>랑은..

아마도 <빛의 제국>은 <검은 꽃>이랑 확실히 연결될 듯.

어쩌면 이미 <나는 나를...>이전에 검은 꽃은 예견되었는지도 모른다.

도서관에서 발견한 <무협 학생운동사> 역시 머 비슷한 맥락 아니겠어?

물론 읽지는 않았지만... 알러지가 좀 잠잠해지면 먼지 털어내고 읽어보겠어!

 

처음에는 <분노의 포도>랑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멕시코로 향하는 조선인들과 캘리포니아로 향하는 톰 일당이,

에네켄 농장의 조선 노동자들과 포도밭, 오렌지밭의 톰 부류의 노동이

짐승처럼 사고 팔리는 그들의 기구함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운명이

농장시스템이 비슷해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어쨌든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내심 바오로 신부가 짐 케이시같은 인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그건 너무 재미없을 거라고 예단했다.

신부가 박수가 되고,

조선 박수의 예언이 멕시코에서 들어맞고,

이름도 없던 보부상 꼬마가 마야 유적지에서 국가를 세우고,

나라도 없는 퇴역 군인이 남의 나라에 용병을 파견하고,

노루피 향 체취를 지닌 고귀한 여인이 사채와 매춘의 큰 손이 되고,

그렇게 그렇게 피는 이어지고, 국가의 기억도 이어지고

그렇지만 피나 국가 따위에는 전혀 아랑곳않고 날은 계속되고 삶은 이어지고.

<분노의 포도>의 격정적인 결말과 어찌 비교할 수 있겠어.

그 담담한 보고 혹은 정리투의 문장이 훨씬 가슴이 아픈 걸.

 

굳이 국가를 세울 이유가 무어냐는 반대에

굳이 국가를 세우지 않을 이유는 무어냐며,

아무도 그냥 아무개로 죽지는 않는다고

왜놈도, 떼놈도 아닌 채로 죽을 수 있다는 말에

입 꾹 다문 패망한 조선의 백성들. 대한사람들.

국가.. 나라.. 세금낼 때 빼면 나는 의식조차 않는 것이거늘

어떤 세상 어떤 시간 어떤 사람들에게는 그게 절대절명이었는지도.

 

아-, 그렇담 나는 어디 사람인가?

대한 사람?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할까?

대한의 삶은 솔찮이 고달픈데... -_-;

 

2006. 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