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메트로 2033 - 인류의 마지막 피난처 제우미디어 게임 원작 시리즈
드미트리 글루코프스키 지음, 김하락 옮김 / 제우미디어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마지막 전쟁 이후 인류는 메트로, 즉 지하철 역에서 살아가며 생을 유지한다. 방사능과 생체 무기로 오염된 지상에서는 도저히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지하철로 숨어든 인간들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힘겨운 삶을 살아간다. 지상의 햇빛도 모르고, 그저 버섯과 이끼를 먹으며 하루하루 연명해 가는 것이다. 하나의 지하철이 하나의 독립된 국가, 도시가 되고 다른 역으로 가는 것도 힘들다. 예전 같았으면 몇 분이면 순식간에 도달할 역이 며칠이 걸려도 갈 수 없는 곳이 되어 버린다. 인간이 주된 장애가 되고, 지하 통로 자체도 위험요소를 안고 있다.

게임으로도 만들어졌다는 이 러시아 소설은 상당히 흥미로운 설정이다. 이동을 위해 만들어졌던 장소가 정착지가 된 셈이다. 익숙한 장소가 고통과 모험의 장소로 바뀌어 버린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모스크바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소설을 읽으면서 즐겁게 상상을 했을 것이다. 또한 지하철을 걸어가며 소설을 떠올리고 머릿 속에 그 풍경을 생생히 부활시켰을 것이다. 익숙한 장소가 새로운 의미를 부여 받고 또다른 용도로 다가선다. 충격 아니었을까? 그런 의미에서 이 지하철들이 모스크바 지하철이 아니라 한국 수도권 지하철이었다면 더 재미있게 느껴졌을 거 같다는 게 아쉽다.

비데엔차 역에 사는 아르티옴이라는 평범한 청년이 주인공이다. 비데엔차에는 다른 역과는 다르게 검은 존재들이 출현한다. 이들이 출현하게 된 원인에 아르티옴이 연관되어 있다. 물론 그와는 별개로 아르티옴은 길을 떠난다. 검은 존재들이 들어올 문을 막으러 떠난 헌터가 돌아오지 않으면 폴리스로 가서 소식을 전하겠다고 한 약속 때문이다. 아르티옴의 여행은 고독하다. 홀로 길을 가며 온갖 고난을 겪어야한다. 물론 조력자는 언제나 존재한다. 적절한 타이밍에 손을 뻗어오는 도움의 손길이 많다. 이런 점이 그가 선택 받은 영웅, 구원자처럼 보이게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사실 무능력하고 나약한 일개 청년에 불과하다. 종종 답답할 정도로 도움을 받기만 한달까. 어떤 의미에서는 구원자가 맞지만, 기적을 일으키는 메시아는 아니다.

아르티옴은 고향을 구한다는 일정한 목표를 위해 여행을 한다. 여행 중에 수많은 사람들이 있다. 메트로는 이전 세상과 영 다르지만 또한 이전 세상을 그대로 축약시켜놓은 것 같다. 세계의 규모가 줄어들었을 뿐, 인간은 똑같은 것이다. 파시즘, 공산주의, 자본주의, 기독교 등의 각종 이데올로기도 부활되거나 유지된다. 전쟁으로 많은 것을 잃었으면서도 반성하지 못하고 이데올로기 때문에 또 전쟁을 벌인다. 물론 생존이 생명체의 가장 중요한 문제인만큼 그들의 이기적인 태도가 이해가 안 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변하지 않는 인간들의 추한 모습 보일 때마다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결말에서 밝혀진 진실 또한 그 인간의 편협함이 불러온 판단 착오였다. 그걸 생각하면 한심해서, 어이 없어서 도무지 할 말이 없다. 그런데 내가 메트로에서 사는 사람이라도 그렇게 살고 행동하고 생각할 것임을 알기에 더 먹먹해지는 것이다.

뭐 어쨌든 재미있는 소설이다. 종말적 세계관이면서 묘하게 현실성도 있는 것 같고, 환상 소설적인 부분도 자주 눈에 띈다. 정말로 게임으로 만들면 재미있을 법한 스토리라인이기도 하다. 일단 아르티옴 한 명을 좇아가는 이야기니까. 러시아 지하철에 익숙하지 못해 초반에 어렵게 느껴진다는 게 단점일면 단점이다. 메트로 역사 부분도 쉽게 넘어가지 않는다. 하지만 그 부분만 잘 넘기고 이 메트로의 세계에 적응만 한다면 아르티옴의 모험을 흥미롭게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
이영도 외 지음 / 황금가지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황금가지에서 나온 두 번째 한국환상문학 단편선이다. 요새들어서 단편집을 재미있게 읽게 된다. 장편에 길들여져 있던 내가 단편을 읽기 시작하면서 마음이 조금 가벼워진 듯 하다. 무엇보다 '한국' 작가의 단편집을 읽을 때면 작가마다 다른 독특한 개성들이 눈에 띄어 나를 즐겁게한다. 한 권으로 여려 권을 보는 듯해 이득인 듯 느끼게 한다.

 일단 이 책은 표지부터가 예뻤다. 커피잔이 놓였던 듯한 자국이 무척 마음에 든다. 제목을 들은 친구들은 끔찍하다는 생각을 하는 듯 했지만 난 커피를 잘 마시지 않기 때문인지 재미있다는 생각만 하고 넘겼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끔찍하네.

단편들은 전체적으로 다 재미있었다.  

 박애진의 <학교>는 단편집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주었다. 평범한 듯 평범하지 않은 세계를 통해 사회의 부조리와 희생, 그리고 관계에 대한 생각을 하게 했다. 이야기 자체도 무척 재미있어서 처음부터 확 끌어 당기는 힘을 발휘했다. 

 은림의 <노래하는 숲>은 뭐랄까... 예뻤다. 동화같은 잔잔한 분위기에 꽃들의 노래가 들려오는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어찌보면 무척이나 잔인하고 냉혹한 현실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우화이기 때문인지 깨끗한 이야기라는 느낌이 먼저 다가온다. 

 김보영의 <노인과 소년>은 짧고 굵었다. 노인, 소년, 꿈의 세 요소가 어우러지며 처음부터 끝까지 뭐가 뭔지 알 수 없게 꿈을 꾸는 듯한 분위기다. 

김선우의 <천국으로 가는 길>은 언뜻 베르베르베르의 <<타나토노트>>가 떠오른다. 선행이 점수로 매겨지고 죄악에서 어떤 극적인 구원도 바랄 수 없게되는 것이 너무 안타깝다. 

<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는 김이환 작가의 소설이다. 실험적이라고나 할까. 작은 이야기들이 반복하며 큰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구조가 흥미롭다. 이야기가 다 반복되는 것인지 세상이 다 반복되는 것인지.  

정보라의 <은아의 상자>는 불륜이라는 소재에 작은 환상적인 아이템을 집어넣었다. 상자와 은색 나무라는 매력적인 소재가 마음에 든다. 은색 나무.. 갖고 싶다. 

임태운의 <뮤즈는 귀를 타고>는 재기 넘치는 작품이다. 진지하지 않게 반쯤 농담처럼 썰을 풀어나가다가 마지막에 반전으로 더 큰 웃음을 준다.  

 정지원의 <장미 정원에서>는 음산한 분위기가 기저에 깔려있다. 읽다보면 강한 장미향과 붉은 장미의 색이 강렬하게 다가온다. 장미라는 화려하고 아름다운 꽃에서는 위험한 분위기가 뿜어나온다. 

정희자의 <소설을 쓰는 사람에 대한>은 특이한 구성의 소설이다. 일단 소제목이 원형으로 쓰여있어서 읽다보면 '소설을 쓰는 사람에 대한 소설을 쓰는 사람에 대한 소설을 쓰는 사람에 대한....'으로 무한 반복된다. 그리고 소설 내용도 이와 마찬가지라서 A는 B의 소설을 쓰고,  B는 C의 소설을 쓰는 식으로 계속 반복된다. 종국에는 이 연쇄가 끝이 나지 않고 세계로 뻗어나가는 것이 흥미롭다. 

마지막으로 실린 <샹파이의 광부들>은 이영도 작가의 작품이다. 네이버에 올라왔던 <샹파이의 광부들> 후속편이다. 이영도 작가의 위트가 돋보인다. 마지막에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에서 탄성이 나왔다. 발상의 전환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한 문제를 한 관점에서 보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만족스러운 단편집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