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
이영도 외 지음 / 황금가지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황금가지에서 나온 두 번째 한국환상문학 단편선이다. 요새들어서 단편집을 재미있게 읽게 된다. 장편에 길들여져 있던 내가 단편을 읽기 시작하면서 마음이 조금 가벼워진 듯 하다. 무엇보다 '한국' 작가의 단편집을 읽을 때면 작가마다 다른 독특한 개성들이 눈에 띄어 나를 즐겁게한다. 한 권으로 여려 권을 보는 듯해 이득인 듯 느끼게 한다.

 일단 이 책은 표지부터가 예뻤다. 커피잔이 놓였던 듯한 자국이 무척 마음에 든다. 제목을 들은 친구들은 끔찍하다는 생각을 하는 듯 했지만 난 커피를 잘 마시지 않기 때문인지 재미있다는 생각만 하고 넘겼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끔찍하네.

단편들은 전체적으로 다 재미있었다.  

 박애진의 <학교>는 단편집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주었다. 평범한 듯 평범하지 않은 세계를 통해 사회의 부조리와 희생, 그리고 관계에 대한 생각을 하게 했다. 이야기 자체도 무척 재미있어서 처음부터 확 끌어 당기는 힘을 발휘했다. 

 은림의 <노래하는 숲>은 뭐랄까... 예뻤다. 동화같은 잔잔한 분위기에 꽃들의 노래가 들려오는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어찌보면 무척이나 잔인하고 냉혹한 현실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우화이기 때문인지 깨끗한 이야기라는 느낌이 먼저 다가온다. 

 김보영의 <노인과 소년>은 짧고 굵었다. 노인, 소년, 꿈의 세 요소가 어우러지며 처음부터 끝까지 뭐가 뭔지 알 수 없게 꿈을 꾸는 듯한 분위기다. 

김선우의 <천국으로 가는 길>은 언뜻 베르베르베르의 <<타나토노트>>가 떠오른다. 선행이 점수로 매겨지고 죄악에서 어떤 극적인 구원도 바랄 수 없게되는 것이 너무 안타깝다. 

<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는 김이환 작가의 소설이다. 실험적이라고나 할까. 작은 이야기들이 반복하며 큰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구조가 흥미롭다. 이야기가 다 반복되는 것인지 세상이 다 반복되는 것인지.  

정보라의 <은아의 상자>는 불륜이라는 소재에 작은 환상적인 아이템을 집어넣었다. 상자와 은색 나무라는 매력적인 소재가 마음에 든다. 은색 나무.. 갖고 싶다. 

임태운의 <뮤즈는 귀를 타고>는 재기 넘치는 작품이다. 진지하지 않게 반쯤 농담처럼 썰을 풀어나가다가 마지막에 반전으로 더 큰 웃음을 준다.  

 정지원의 <장미 정원에서>는 음산한 분위기가 기저에 깔려있다. 읽다보면 강한 장미향과 붉은 장미의 색이 강렬하게 다가온다. 장미라는 화려하고 아름다운 꽃에서는 위험한 분위기가 뿜어나온다. 

정희자의 <소설을 쓰는 사람에 대한>은 특이한 구성의 소설이다. 일단 소제목이 원형으로 쓰여있어서 읽다보면 '소설을 쓰는 사람에 대한 소설을 쓰는 사람에 대한 소설을 쓰는 사람에 대한....'으로 무한 반복된다. 그리고 소설 내용도 이와 마찬가지라서 A는 B의 소설을 쓰고,  B는 C의 소설을 쓰는 식으로 계속 반복된다. 종국에는 이 연쇄가 끝이 나지 않고 세계로 뻗어나가는 것이 흥미롭다. 

마지막으로 실린 <샹파이의 광부들>은 이영도 작가의 작품이다. 네이버에 올라왔던 <샹파이의 광부들> 후속편이다. 이영도 작가의 위트가 돋보인다. 마지막에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에서 탄성이 나왔다. 발상의 전환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한 문제를 한 관점에서 보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만족스러운 단편집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