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스를 모티브로 쓰인 소설. 김이환 작가의 스타일이 잘 녹아 있다. 환상적이고 귀여우면서도 어딘지 스산하다. 디저트 맛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 꽃으로 태어났어 zebra 7
엠마 줄리아니 글.그림, 이세진 옮김 / 비룡소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채색 세상에서 색채를 갖고 피어나는 아름다운 꽃들. 색깔은 사람을 행복하게 한댔던가? 검은 실루엣 속에 숨어 있는 꽃을 펼치면 그렇게 아름다울 수가 없다. 팝업 기술이 대단하진 않지만 일러스트와 색만으로도 만족하기엔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레스 스토리콜렉터 27
마리사 마이어 지음, 김지현 옮김 / 북로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나 크로니클 3권. 천재 해커 라푼젤, 크레스 캐릭터도 매력적이다. 전 권들에 비해 두꺼운데도 흡입력이 좋아 재미있게 읽힌다. 시리즈 전체로는 신더가 주인공이고 이번 권은 크레스가 주인공이니 2권의 주인공 스칼렛의 비중이 확 줄어버린 건 아무래도 어쩔 수 없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밀의 정원 - 안티 - 스트레스 컬러링북 조해너 배스포드 컬러링북
조해너 배스포드 지음 / 클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척이나 예쁘고 아름답다. 생각보다 일러스트가 많기도 하고. 세밀한 그림들이다 보니 한 장 칠하는 데도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색칠을 하고 있으면 마음이 차분해지는 느낌이다. 글이 눈에 들어오지 않고 영상으로도 정보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을 때, 하지만 시간을 보내야 하고 결과물은 있었으면 할 때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브 바이 나이트 : 밤에 살다 커글린 가문 3부작
데니스 루헤인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 얘기다. 우린 밤에 취했어. 낮에 살면 낮의 규칙에 따라 살겠지. 우리는 밤에 사니까 밤의 규칙을 따라야 하는 거야. 그런데 말이야, 디온? 실제로 우리한텐 규칙 자체가 없어."_542쪽

 

당연한 소리지만, 밤은 어둡다. 그 어둠 속에서 밝은 햇살 아래에서는 떳떳할 수 없는 여러 사건들이 벌어지고는 한다.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집에 들어가 합법적인 방식으로 돈을 버는 건전한 삶이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들은 밤 속에서 살아간다. 데니스 루헤인의 『리브 바이 나이트-밤에 살다』는 그 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리브 바이 나이트는 작가의 전작인 『운명의 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운명의 날의 주인공은 조의 형이다. 그러나 운명의 날을 보지 않더라도 리브 바이 나이트를 읽는 것은 문제없다. 나 또한 운명의 날을 읽던 도중에 이 책을 집어 들었지만 막히는 곳 없이 술술 읽혔다.

 

누군가는 낮을 사랑하지만 어떤 사람은 밤에 이끌린다. 이 책의 주인공인 조 커클린은 강한 형사인 아버지 아래에서 자랐지만 항상 밤에 끌렸다. 조는 친구들과 강도짓을 하다가 에마를 만나게 되고 그녀에게 끌린다. 에마는 그 지역 조직 보스인 앨버트 화이트의 애인이었다. 에마와 사랑의 도피를 시도하다가 에마는 사망, 조는 감옥에 들어간다. 조는 감옥에서 앨버트의 라이벌 조직 두목인 마소와 엮이게 된다. 아버지와의 관계, 지역 보스로서 조직 사업을 정비하는 과정, 사랑, 배신 등이 이후에 계속 이어진다.


소설은 1920-30년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그 시대의 미국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그대로 담겨있다. 거기다 암흑가라는 소재. 남성적이라고 할 법하지만, 땀냄새 나고 심심하면 총질해대는 식의 남성성의 과시는 없다. 여기에 나오는 사람들은 폭력과 술이 삶의 수단이지만, 거기에는 판타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게다가 조라는 인물이 약간이나마 깔끔한 엘리트 느낌이 있어서 더욱 거부감이 없었다.


"그럼 뭐가 문제지?"

"밤. 밤은 나름의 규칙이 있어."

"낮에도 규칙은 있지."

"오, 알아…… 하지만 난 낮의 규칙은 싫어."_217쪽


조가 밤의 규칙 속에서 살기로 결심한 후로 그가 걷게 될 길은 자명하게 느껴진다. 조는 깜깜한 밤 속에서 불빛 하나에 의지해 외길을 걸어간다. 다른 곳으로 빠질 거라는 생각조차 들지 않는다. 갈림길이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조가 비추는 손전등은 외길만을 비춰낸다. 내게 이 소설은 정해진 결말로 차근차근히 걸어가는 듯했다. 


정말로 흥미진진했다. 거의 처음부터 끝까지 마음에 들어서, 포스트잇을 빽빽하게 붙여버렸다. 이 소설을 통해 정말 매혹적인 한 편의 영화를 봤다. 이렇게 쓰고 보니 왠지 영화에 대한 기대로 글을 마무리해야 할 것같은 기분. 디카프리오 주연이라니.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