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악한 늑대 ㅣ 스토리콜렉터 16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3년 6월
평점 :
넬레 노이하우스의 최신간 <사악한 늑대>를 읽었습니다. 역시나 손에서 책을 놓지 못하게 하는 흡입력에 감탄, 또 감탄하며 읽었는데요, 이번 책은 읽으면서도 참 기분이 좋았습니다. 독서 자체가 언제나 즐겁고 새로운 모험이긴 하지만 이번 모험은 특히나 더 감동적이었고 멋졌지요. 전편들에서 보여줬던 넬레 노이하우스만의 사건 진행방식이나 해결방식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느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동시대의 작가의 역량이 점점 커져가는 것을 직접 느끼며 지켜보는건 정말 멋진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번 책은 아동성폭력이 주제입니다. 이번에도 역시 독일 작은 시골 지방인 타우누스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을 시골 지방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 문제와 접목시킨 그녀의 능력은 참으로 탁월했습니다. 작가 본인도 작가 후기에서 이번 작품을 준비하며 많은 사례들을 조사하고 인터뷰하며 많은 것을 느꼈다고 하죠. 그래서 독자들 역시도 이 사건을 쉽게만 받아들일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이런 일이 실제 일어나고 있고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작가가 얼마나 조심스럽게 이 문제를 다루고 있는지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사회문제를 자신만의 색깔로 진지하게 다뤄내는 것은 역시 예술가들이 사회와 소통하는 한 방식이라고 느껴지더군요. 다시 한 번 넬레의 글쓰기를 응원하게 됩니다. 또 이번 책에서는 넬레의 다른 시리즈들과 차별화 된 여러 도전들이 특히나 눈에 띄는데요, 그런 것들이 잘 느껴져서 정말 얼마나 재미있게 책을 읽었는지 모릅니다.
먼저 개인적으로 가장 잘 느껴졌던 것은, 작가가 피아형사에게 부여한 새로운 감정들입니다. 약간의 여유라고 느끼기도 했습니다. 사실 그 동안 5권의 이야기를 통해 피아 형사가 개인적인 문제와 감정에 싸우면서 사건을 다루는 모습이 잘 그려지긴 합니다만, 이번 책에서는 피아 형사라는 사람의 개인적인 내면을 사소하지만 조금씩 더 건드리려고 한 부분이 많이 느껴졌습니다. 사건의 한 귀퉁이 귀퉁이마다 이 여자가 느끼는 작은 느낌들, 찰나의 감성들을 책 속에 더 많이 집어넣었죠. 때문에 독자들은 피아를 조금 더 친밀하게 느끼게 됩니다. 피아의 사상, 감정, 변화들을 통해 정말 인간적인 살아있는 캐릭터를 만나게 되는거죠. 그리고 그런 살아있는 캐릭터이기 때문에 사건을 다루는 방식이 틀에 박힌 듯한 느낌이 아닌 정말 살아있는 사건을 보는 느낌이 들게 됩니다. 또한 제 개인적으로는 피아의 감정을 더욱 드러내면서 넬레 본인의 감정도 흘려보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사실 책의 내용이 사건 해결에 집중되어 있다보니 여성 작가가 스스로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 조금 배제되어 있지 않았나...싶었거든요. 물론 이야기에 작가의 감정적 성향이 너무 들어가면 오히려 캐릭터들이 죽어 따분한 글이 되지만 적절한 개입은 오히려 등장인물들이 되려 실제하는 사람처럼 느껴지게도 하는 장치가 되기 때문에 은근 그런 작가의 개입을 기다려 오기도 했었던 탓입니다.
또한 이번 책에서는 넬레가 확실히 잘 짜여진 스토리텔링을 구축했음을 증명하는 이야기 구조가 등장합니다. 뭐 다른 시리즈들도 전개의 빠름, 흡입력에 대해서는 가타부타 말할 필요가 없었지만요,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에서 보이는 낭비되는 설정들, <사랑받지 못한 여자>에서의 뜬금없는 이야기 확장과 결말같이 작가 스스로가 책 속에 직접 실험해본(것 같다고 그냥 스스로 느낀 ㅋㅋ) 설정들을 통해 결국 이번 <사악한 늑대>에서는 확실히 안정된 이야기 전개를 보여줍니다. 무리수를 둔 것도 없었고, 낭비된 떡밥도 없습니다. 피아 형사와 보덴슈타인 반장의 개인적 삶과 체험이 사건과 절묘하게 연결되면서 사건 해결 뿐만 아니라 캐릭터 스스로의 발전도 가져옵니다. 책의 말미에 가서는 피아 형사가 사건을 거의 자신의 문제로 (실제로 그렇기도 하고) 받아들이면서 사건이 정말 형사와 사건의 관계가 아닌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로까지 발전됩니다. 피아 형사와 보덴슈타인 반장이 지금껏 사건들을 해결해 오면서도 '자신들은 범죄의 희생양이 되지 않겠지'라는 안심을 했던 것이 철저하게 다 벗겨집니다. 본인들이 실제 사건의 주인공이 되어 직접 피해자의 마음을 느껴보면서 수사에 맞서는 그들의 태도가 한단계 더 성숙하죠. 지금껏 어찌보면 잘 만든 미국 범죄수사 드라마를 보는 것 같은 느낌도 살짝 듭니다. 지금껏 피아와 보덴슈타인에게 집중적으로 쏠렸던 관심도 특수사건 전담반 K11의 다른 구성원들에게까지 적절히 분배되면서 나머지 캐릭터들의 이야기와 행동의 이유까지 만들어내죠. 벤케형사와 카트린형사의 이야기는 쏠쏠한 덤입니다. 확실히 사건을 진행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이제는 다른 캐릭터들까지 그 속에 쏙쏙 잘도 집어넣는 여유까지 보여주는 것 같네요.
덤으로 이 책의 제목 참 잘 지었습니다. 사실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이라는 책의 제목은 강렬하기는 하지만 사실 책의 내용과 크게 합하는 부분이 없어요. 그런데 <깊은 상처>나, <너무 친한 친구들>처럼 이 책도 제목에 모든 이야기가 들어있습니다. 이번 이야기는 더불어 빨간모자 이야기를 차용해 빨간모자와 그 소녀를 괴롭히는 나쁜 늑대를 어린 아이들과 어린아이를 성욕의 상대로 보는 성범죄자들을 나란히 비교해놓고 있습니다. 이것 또한 재치있는 장치였습니다. 책 속에서 피해 아동들이 자주 하는 말인 '나쁜 늑대가 괴롭힌다'는 표현 역시도 어린아이들이 보내는 구조신호라는 의미에서 독자들과 피해아동 가족들의 가슴을 미어지게 합니다. 책의 말미에서 이제 성인이 된 피해아동이 다시 나타나 하는 단 한마디, '공주가 온게 기쁘지 않으세요?'라는 장면은 짧지만 너무도 강렬했습니다. 소름이 끼치더군요.
마지막으로 아 책은 아동성폭력문제와 다른 심각한 사회 문제들을 고발합니다. 실로 뜨악하는 사건들이죠. 사람이 어떻게 저런 짓을 할까..싶어 주먹까지 움켜쥐게 되는 장면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이런 문제들을 고발하기 위해 작가 본인이 얼마나 힘들었을지 감히 짐작해 봅니다. 그런 범죄집단이 모조리 소탕되면 좋겠지만..아직 우리 주변에는 그런 일들이 여전히 일어나고 있지요. 참으로 사람 살기 무서운 세상입니다. 우리를 대신해서 그런 사람들에게 법의 심판을 주는 피아와 보덴슈타인, 강력반에게 응원과 지지를 보낼 뿐입니다.
이 책을 번역한 번역가도 그렇게 말했듯이, 작가 넬레 노이하우스는 한 단계 성장했습니다. 다섯번 정도 비슷한 패턴의 사건 전개가 진행되어 오다보니 여섯번째 책도 그렇지 않을까 생각 했다면 그 생각이 아니라고 말하며 웃는 듯 하네요. "나는 아직 정형화되지 않았다. 나는 아직 굳지 않았다. 나는 아직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다" 라고 말하는 듯 했습니다. 책이 정말 맛깔났습니다. 시리즈들에서 보여주는 용감한 실험정신도 그렇고 아직 넬레는 성장 가능성이 많은 부지런한 작가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