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설공주에게 죽음을 스토리콜렉터 2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드디어 고대하던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을 읽었습니다만, 읽고 난 후의 느낌은 '실망'이었습니다.

시리즈의 첫 책인 <사랑받지 못한 여자>는 스케일이 갑자기 이상하게 방대해진다거나, 인물을 소개하는 방식이 조금은 촌스러운 나열식이라는 어색어색함은 있었지만, 그건 시리즈가 계속되면서 자연스럽게 자리잡아간 부분이었다면 시리즈의 중간정도 책인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은 처녀작이 아닌데도 곳곳에 보이는 헛점때문에 실망을 많이 한 책이었습니다.

 

내용은 이번에도 어김없이 독일 타우누스 지방 경찰서의 강력계 반장 보덴슈타인과 피아형사가 타우누스 지방의 강력범죄를 해결하는 내용입니다. 책들의 첫 부분은 항상 강렬하게 시작되기 때문에, 이번 책에서도 어떤 여인이 육교 위에서 떨어져 중상을 입는 것으로 시작되죠. 그리고는 여자 둘을 죽인 혐의로 십년 간 감옥에서 지냈던 토비아스라는 청년이 타우누스 마을로 돌아옵니다. 마을 사람들은 살인자이자 전과범인 토비아스를 냉정하게 바라보지만 토비아스 본인은 어쩐지 자신의 범죄에 대해 조금은 떳떳한(?) 반응입니다. 그가 살인을 한 기억이 전혀 없기 때문이었죠. 누군가의 음모인지, 아니면 자기가 가진 어떤 병 때문인지 토비아스는 어쩐지 자신이 사랑했던 여자친구와 동네 친구를 죽인 기억이 전혀 없습니다.

 

이런 설정속에서 독자들은 ''당연히'' 토비아스가 범인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리고는 토비아스를 두 여자를 죽인 살인범으로 몰고 가야했던 진범이 누구인지 끊임없이 책을 파고들게 되죠. 그런데 문제는 그런 수사 과정에서 뿌려진 떡밥이 너무 많다는 점이었습니다. 그것도 그냥 떡밥이 아니라 형사들이 아닌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작가가 직접 독자들에게만 알려주는 "근거없는" 떡밥이 너무 많다는게 이 책의 가장 큰 흠이 아니었나 싶네요.

 

예를들면 이런 것인데요, 이야기에는 티스라는 정신분열을 일으키는 한 청년이 등장합니다. 작가는, 혹은 화자는 마치 그 티스라는 젊은이가 죽은 여자(백설공주라는 별명을 갖고 있던)와 마치 무슨 관계가 있었던 것처럼 설정을 놓습니다. 티스 스스로가 '백설공주를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해' 라는 식의 말을 중얼중얼거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중얼거림은 형사들에게는 노출되지 않고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만 노출이 됩니다. 때문에 독자들은 티스의 중얼거림만 듣고 전혀 근거없이 티스가 범인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품게 되죠. 이런 떡밥을 뿌리려면 조금은 형사들에게 노출되었어야 하지 않나..하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채 토비아스에게 누명을 씌운 사람만 찾아다니는 독자들을 낚는 낚시성 장치들이 아닌, 형사들의 눈에 보기에도 확실히 수상하고 어떤 이유가 있는 장치들이 있어야 독자들이 제대로 된 판단을 하며 책을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냥 독자들을 상상하게하는 이런 밑도 끝도 없는 떡밥들은 결국 이야기의 진행이나 개연성에 아무 영향도 주지 못한다는게 가장 큰 문제죠. 실제 티스의 중얼거림은 이야기의 결말까지 반복되지만 아무 소득없이 낭비되는 장치 중 하나입니다. 그 말 때문에 근거없이 한 청년을 의심하게 했다가 결말을 보면 뜬금없이 다른 사람이 범인이고 말입니다. 이건 독자들의 의심을 이야기 끝까지 붙잡아 두다가 큰 반전을 주려고 의도한게 아닌가..하는 생각까지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장치들은 책이 아니라 영화에서도 숱하게 자주 나온 방법들인것 같네요. 이 때문에 저는 이 책이 혹시 영화화 될 것을 노리고 만들어진게 아닌가..하는 생각도 해 보았습니다. 지금 예로 든 티스라는 청년의 이상한 중얼거림외에도 좀 오글거리는 영화적 설정들이(라고 느껴지는) 몇몇 더 있었거든요.

 

'어렸을 때는 선머슴이었다가 십년 뒤에 빼어난 미모와 몸매, 매력을 갖춘 영화배우로 거듭난 동네 친구가 십년이 지난 지금까지 나를 사랑하고 있었다'...'그래서 그녀는 전과자인 나의 이력도 아랑곳 하지 않고 하루만에 잠자리를 같이 하며, 영화를 찍고 있는 상황에서도 나를 위해 스케줄을 펑크내고 독일 시골인 타우누스까지 비행기와 고급차를 타고 손수 왕림해주셨다' 그런데 '그녀는 날 사랑하다 못해 집착하고 나는 한참 어리디 어린, 첫사랑을 닮은 어떤 여자애에 빠져 완벽녀가 너무 부담스럽다.' '그녀와 잠은 자도 마음은 순수한 그 소녀에게 끌리는건...무엇 때문일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건 남자들의 로망인가요 아님 헐리우드 영화의 공식인가요 뭔가요..정말 읽는 내내 이 부분만 나오면 오글거렸습니다. 그리고 이런 설정들은 어쩐지 넬레 노이하우스의 다른 시리즈들과 약간은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고 말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정말 영화를 목표로 만들어진건 아닐까...싶은 생각이 들었죠.

 

결말은 뜬금없이 가슴아프고 절망적입니다. 한동안 이 결말이 마음에 남아서 저를 괴롭혔어요. 그런 일이 실제로 일어 날 수 있다는 것에서 오는 아쉬움...안타까움..솔직하지 못했던 사람들의 어리석은 결정은 생각 이상으로 많은 거짓말과 많은 비극으로 이어지게 되고 말았죠. 내가 살기 위해서, 혹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어쩔 수 없었다고 변명하기에는 그 과정에서 너무도 많은 사람들과 한 마을이 지난 십년동안을 고통받았습니다. 보덴슈타인 반장과 피아 형사는 이런 마을 앞에서 어떤 마음이 들었을까요..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졌다고들 하죠. 진실을 말하면 내 모든 것을 잃을 것 같은 절망 속에 있다면 과연 인간은 진실을 말할 용기가 있을까요? 책속의 주인공들은 사건이 일어난 날 밤, 그리고 그 다음날 까지도 분명 실수를 만회할 시간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실수를 시인했다면 그 사람의 인생은 어떻게 되었을까요..아마 그런 공포감 때문에 그 사람들이, 그리고 한 마을이 모두 입을 다물었던 것일 것입니다. 아무리 어린 나이에 철모르고 지은 실수라도 실수는 실수입니다. 귀엽게 눈감아줄 수 있는게 있다면 반드시 죄의 댓가를 받아야 하는 실수도 있는거죠. 그리고 그런 응당한 죄의 댓가는 반드시 치러져야 하는 것입니다. 그 때 댓가를 받아야 할 사람이 댓가를 받았다면 지금 그 마을은, 그리고 토비아스는 지금쯤 어떻게 되었을까요. 이런 생각조차 허무하게 만들어버리는건 바로 '범인이 죄를 고백할 용기가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몇몇 낭비된 떡밥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그래도 조금 여운을 남기는 건, 이 책이 다른 시리즈와는 다르게 범인이 하루라는 시간동안의 사람을 살릴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결국 자신의 죄를 모른척 하기로 결정했고, 그 결정에서 온 결과가 너무도 비극적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뭐 제가 이래라 저래라 떡밥이다 뭐다 말은 했지만, 저는 사실 이런 시리즈들을 계속해서 만들어내는 넬레 노이하우스를 존경합니다. 비판도 하고 생각도 하면서 이 책을 역동적으로 읽을 수 있었던게 오히려 재미있었어요. 나도 할 수 있다면 이 여자처럼 어떤 한 세상을 창조하고 등장인물들을 살아가게 해보고 싶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한 모든 작가들을 존경하지만 전 그 중에서도 특별히 <해리포터 시리즈>의 조앤 롤링과 <타우누스 시리즈>의 넬레 노이하우스를 좋아하는 편입니다. 뜬금없이 작가 이야기까지 나왔네요. 결론은 책 맛있게 잘 읽었다는거!

 

 

추 : (책 표지 디자인은 상당한 감동을 받았습니다만) 우리나라에서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이라는 책이 솔직히 왜그리 인기가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시리즈 중 지금껏 가장 재미있었던 이야기는 <깊은 상처>입니다. <깊은 상처>에는 나치의 나쁜 정치가 지금껏 독일 사람들과 유대인에게 미치고 있는 영향을 보여주면서 그 속에서 적극적으로 사건을 해결하는 피아 형사의 개인적인 감정들이 상당히 잘 버무려져 있습니다.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이라는 책의 맥빠지는 스포를 하나 하자면, 제목과 사건 내용에는 그다지 큰 개연성이 없습니다. 하지만 <깊은 상처>에서는 제목이 책의 모든 내용을 대변해주기 때문에 책을 다 읽고 난 다음에도 책장을 덮어 다시 제목을 보면서 상당히 큰 '마무리감', '후련함', '안도감', '감동'을 느낄 수 있었죠. 뭐 그렇다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