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나로 살아야 한다 - 자기실현을 위한 중년의 심리학
한성열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책은 오랜만입니다 . 결혼전엔  많이 읽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합니다고민이 많지 않아서 일까요생각해보면 그것보다 심리적 안정감 때문인거 같습니다.하지만 심리학은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분야입니다.


p.6

심리학은  살기 위해  필요한 공부라는 것입니다카를 융은 중년이 넘어서야 비로서 사는 것이 무엇인지 깊은 맛을   있고,비로소 자기 실현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p.9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는 복습과 예습이  필요하듯이,중년을 지내고 계시는 ,이미 지내신  그리고 앞으로 지낼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미국 정신의학회의 표준 진단 메뉴얼인 <정신질환 진단  동계 편람> 중년기를 최대 50~64세로 정의 하고있습니다남성은 40~60세사이 여성은 35~60세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갈수록 중년을 인정하는시기는 점점더 늦어 지고 있습니다아무래도 평균 수명 상승 때문 인걸까요?


40대에 진입하는 81년생에게 질문 하였다고 합니다당신은 중년이라고 생각하는지아니오 라는 대답이75% 였다고 하는데요저도 그렇습니다아직 그렇게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성장하는 동안은 늙지 않는거 같습니다하지만 지속적으로 공부하지 않고 성장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생각해 봅니다.


p.26

수명이 길어진다는 것은 분명 기쁘고 축하할 일이다하지만 길어지는 수명이 축복이기 위해서는 중년 이후의 삶이 행복해야 한다불행한 시기가 길어진다는 것은 재앙에 불과 하다먼저 건강해야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야 하고 보람있는 일을 원하는 만큼 할수 있어야한다.


평균 수명이 정말 길어졌습니다지금의 메인 직업에 세컨 직업까지 생각하지 않으면 안되는 세상이

코로나로 인해 더욱  당겨진거 같습니다 고민이 많을때 사실 심리학책을  보게 되는데요그게 아닌 삶을살아가기 위해 심리학 공부는 필수 라는것을 다시한번 느꼈던거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