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1980년 5월18일 일어난 5.18 민주화 운동은 영화로도 많이 제작되었고, 뉴스나 다큐멘터리를 통해 간혹 접할 수 있는 소재 였다. 그러나 책을 통해 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 같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한강작가의 장편소설 소년이 온다는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이야기로 책을 읽고 많이 슬펐으며 동시에 분노도 많이 느끼게 된 책이다. 이전에 채식주의자도 그렇고 이번에 읽은 소년이 온다도 마찬가지로 왜 한강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는지 깊이 있게 전개하는 이야기를 통해 느낄 수 있었다.
소설 책을 자주 읽지도 않지만 책을 읽고 마음속 깊은 곳의 감정까지 건드리는 경우는 드물었는데, 이번 소년이 온다는 당시의 5.18 민주화 운동의 피해자들에 대한 고통과 당시의 그들이 느끼는 감정, 그때의 적나란 환경을 리얼하게 느낄 수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더욱 슬프고 분노를 느끼하는 대목이 많았다. 사실 택시운전사, 1980, 서울의 봄 등 비슷한 소재의 영화도 몇번 관람하였기 때문에 어느정도 그때의 상황이라던지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는 있었으나, 이번 소년이 온다를 읽을 때는 영화에서 느낄 수 없는 희생자들과 그들의 가족에 대해 더 깊이있는 감정까지 느낄 수 있었던 거 같다.
그들은 누구를 위해서 그렇게 싸웠고, 희생 당했으며, 그들이 얻은 건 무엇이고, 그들의 가족과 형제들까지 왜 피해를 당했고, 어떤 감정으로 세상을 살고 있고 살아 왔는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이 들게 되었다. 우리가 종교를 믿는다던지, 제사를 지내고, 바르게 사는 이유는 그 목적 중 한편으로는 살며서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기 때문에 신에 대한 믿을 가지고 산다고 생각한다. 5.18 희생자들은 그들은 민주화에 대한 희망을 바라고 본인들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동기와 누군가는 해야한다는 사명감을 통해 어찌보면 희생을 감래한 것이다. 그러나 국가가 그들의 등졌으며 그들의 가족도 몰살당하는 살면서 당하지 않아야할 억울한 일을 당했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답답하면서도 하늘이 원망스러운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한편으로 지금 이렇게 우리가 편안하게 살고 있는 것이 그들의 희생이 뒷받침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니 그저 감사하고 고마울 따름이다.
지금 세상은 참 평온하고 살기 좋은 세상인거 같다. 표현의 자유,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는 평등한 사회. 물론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다르게 생각할 수 도 있겠지만 과거에 비하면 지금은 너무나도 발전되고 좋은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소년이 온다를 읽고 많은 분노와 슬픔도 느꼈지만 그래도 내가 제일 크게 느낀 부분은 그들의 희생에 대한 감사와 함께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세상이 너무나도 살기 좋기 환경이기 때문에 살아있음에 감사를 느끼고 작은 것에 짜증내며 화를 내었던 내 자신에게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살면서 화를 자제하고 이해하며, 더욱더 열심히 살아야 겠다라는 다짐을 일깨워 준 책 소년이 온다는 마음 깊숙이 잘 읽었고, 희쟁자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슬픔을 딪고 편안하게 쉴 수 있기를 희망하며 서평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