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 더듬는 꼬마 마녀 ㅣ 돌개바람 42
이경혜 지음, 신지영 그림 / 바람의아이들 / 2018년 10월
평점 :



틀림이 아닌 다름
이 책은 말을 더듬는 하늬가 자신의 약점을 강점으로 승화시키는 이야기다. 누구나
약점과 강점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눈에는 강점보다는 약점이 눈에 잘 보이고 그것을 지적하거나 비아냥
거리면서 웃음 거리를 만드는 것을 유머라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존재한다.
체질적으로 통통한 아이들은 유년 시절 ‘돼지’와 관련된 별명이 따라 붙을 수 밖에 없고 이와 반대로 마른 아이들은 ‘젓가락’과 비슷한 별명이 따라 붙는다. 또한 소수의 성을 가진 아이들은 그것과
관련된 별명을 붙이고 외형적으로 다른 아이들도 마찬가지로 별명의 대상이 된다.
누군가에게 별명을 붙이고 부른다는 것은 친근함의 표시 이다. 하지만
그 별명을 듣는 당사자의 기분을 고려해야만 진정한 별명이 될 수 있다. 지속적으로 거부하는 데도 불구하고
별명을 부른다면 그것은 어쩌면 의도치 않은 비하 일 수 도 있다.
주인공 하늬는 말을 더듬는다. 이런 하늬를 위해 엄마는 강아지를 데려왔다. 엄마는 하늬에게 마법이 걸려서 말을 더듬지만 강아지를 통해 그 마법을 치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평소에 말을 더듬던 하늬는 신기하게 강아지와 이야기를 하자 말을 더듬지 않는다. 짐짓 놀란 엄마와 아빠는 내색 하지 않고 마법의 주문이 풀릴 것이라고 이야기를 하면서 진정을 시킨다.
어린 시절 누구나 쉽게 고치지 못하는 버릇, 특성을 가지고 있다. 누군가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될 때까지 손가락을 빨거나 손톱을 물어 뜯기도 하고 누군가는 지나치게 다리를 떨거나
혼잣말을 심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모든 경우를 싸잡아서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치부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말을 더듬거나 행동이 더딘 아이들은 쉽게 다른 아이들의 놀림감이 되기 십상이다.
하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신의 약점을 극복하고자 연극에서 말을 더듬는 꼬마 마녀라는 역할을 만들어서 성공적으로
연기를 마친다. 이러한 이야기는 지속적으로 아이들에게 읽어줌으로써 타인에 대한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
들일 수 있게 해준다.
자신과 다른 행동, 모습, 가치관을
배격하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배웠지만 쉽게 말하고 행동하는 이분법적인 현실 속에서 어린 시절부터 타인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하는 모습을 키우기에 좋은
동화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