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짓말의 진화 - 자기정당화의 심리학
엘리엇 애런슨.캐럴 태브리스 지음, 박웅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가끔 생각했던 것과 다른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을 보게 된다. 이 책 역시 그런 책이었다. <거짓말의 진화>라는 제목에 '자기정당화의 심리학'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책은, 오히려 '자기정당화의 진화'라는 제목으로 되었어야 맞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혹시라도 '왜 거짓말을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기대했다면 조금은 실망을 하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은 '맞다', '틀리다'의 개념이 아니다. 뭔가를 확실하게 꼬집어서 정확하게 얘기해 주기보다는 두 저자가 사회심리학자인 것처럼 보편 타당한 관점에서 말해 주고 있다. 많이 아쉬웠던 것은 수많은 사례 중 정확하게 짚어가면서 속시원히 설명해 주는 대목이 없다는 것이다. 잘못하면 사례 열거에 치우쳐 본 책의 의도가 희석되어질 수 있는 약점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다만, 사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경험을 하거나 그러한 사람들의 심리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적잖이 도움을 받을 수도 있겠다.
거짓말, 자기정당화의 대표적인 부류를 뽑으라면 고민의 여지도 없이 정치인, 고위공직자, 대기업총수 등 사회고위층 인사와 연예인 등일 것이다. 그들을 통해서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일들에 이젠 무감각해질 정도다. 왠만한 일이 아니고선 촉수조차 꿈쩍도 하지 않는다. 왜 이렇게까지 되었을까? 늘 변함없이 아무일 아니라는 듯한 제스처와 언제나 약속이나 한 듯한, '모른다', '조작이다' '음해다' '오해다' 식의 성의없는 말들의 나열을 너무 오랜 세월 동안 들어왔기 때문이다. 언제나 결백하다고 억울하다고 하며 짓는 표정에는 더 이상의 연습도 필요없어 보인다. 더이상 쇼크랄 것도 없는 새로운 사건들에 변함없는 그들의 행동에 확인만 할 뿐이다.
그들이 사용하는 자기방어적 말들에 대중들이 무감각해졌다는 것은 그만큼 면역성이 커졌다는 말도 된다. 왠만한 일이 아니면 놀라지도 않는다. 어쩌면 진즉 이렇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컸을지도 모른다. 더욱 더 사건과 사고에도 무감각해지길 바라면서 말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렇게 정치인,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대중을 설득할 때는 자신이 위험을 모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자신을 설득할 때는 자신에게 거짓말을 하고 있다. 바로 그 때문에 자기정당화가 공공연한 거짓말보다 강력하고 훨씬 더 위험하다. 자기정당화가 있음으로 자신의 일이 최선이었다고 스스로를 설득할 수 있게 된다.'라고 말이다.
하지만 자기정당화는 사람들의 과오와 그른 결정을 과소평가하는 것만이 아니다. 사람은 완벽할 수 없다. 즉, 실수를 하지 않고 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렇다면 자기정당화는 무조건적인 용서를 받아야 하는 걸까? 저자는 자기정당화에는 기억이 자리잡고 있고 이 기억으로부터 모든 사건은 재구성된다는 것이다. 즉, 기억은 재구성하는 성격이 있기 때문에 작화(作話)의 영향을 받기 쉽단다.
기억에 의해 조종된다는 자기정당화는 어느덧 실제 있었던 일이 되고, 발생한 일이 되는데 자기를 정당화하려는 사람은 왜 이렇게 믿고자 하는 것일까? 혹은 믿을까? 첫째, 그때의 감정과 세세한 내용까지 담고 있는 생생한 기억이 명백히 틀리다는 것을 깨닫는 것은 참으로 난감한 일이라는 것이다. 둘째, 어떤 기억의 정확성을 절대적으로 확신한다 해도 실제로 그렇지 않는다는 것이다. 셋째, 기억의 착오가 현재의 감정과 신념을 지탱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읽다보면 자기정당화를 합리화시키는 것에 정당성을 부여해 주는 것같기도 하고, 사회의 순환적 역할을 위해서 모종의 눈감아 주시식 약속인 듯해 씁쓸하다. 어쩔 수 없다는 것을 알라고 강요하는 것같기도 하다. 하지만 분명히 자기정당화나 거짓말이나 변명은 나쁘다. 선의의 거짓말이라는 모종의 애교성 용서가 가능한 것(물질적 정신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것들)들은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이외의 것들이 일상화되는 것은 사회 순기능이 아니라 역기능을 초래할 뿐이다.
거짓말과 자기정당화를 관철시키려는 사회 분위기가 변해야 한다. 부끄러움을 알게 해야 하고, 잘못한 것은 분명 잘못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해야 건강한 국가, 건강한 사회, 건강한 가정이 되는 것이다. 더이상 거짓말과 자기정당화를 위한 감언에 무감각해져서도 안 되고 면역성을 길러도 안 될 것이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