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쿨을 꿈꾸다 - 예비 법률가가 꼭 읽어야할 성장 소설
이은영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나도 로스쿨을 꿈꾼다. 지금은 많이 흔들려 법조인과 외교관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지만(물론 둘 모두 쉬운 꿈도 아니고..), 어찌되든 로스쿨은 진학할 생각이다. 법학 그 자체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물론 정치학 쪽에도 관심이 있기 때문에 정치외교에 꿈을 둔 것이긴 하지만, 법학 자체가 정치외교에도 보탬이 될 것 같기 때문이다. 어떻게 될런지는 모르겠으나, 나에겐 꽤나 의미있는 책일거라고 생각하고 접한 책이었다.

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책의 설명은 다 가짜다. 예비 법률가가 꼭 읽어야할 소설 좋아하시네..라고 말해주고 싶달까. 예비 법률가보단 편안한 성장소설을 찾는 사람이 읽으면 좋을터다. 최상의 독자는 '로스쿨을 꿈꾸지만 당장 로스쿨 진학에 보탬이 되거나 법학과 관련된 것을 읽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며, 그러나 법학을 배우는 사람들의 성장소설을 가볍게 한 편 읽어 법학에대한 관심을 강화시키고 싶은 사람'. 읽는 사람이 여성이라면 30% 정도 효과 강화다. 이 소설은 로스쿨보다 오히려 여성의 권리, 남녀차별에 더 포인트를 두고 서술하고 있다는 느낌도 짙다. 아마도 그 시대에는 그랬을터다. 법학과에 단 하나뿐이었던 그녀, 이건 그녀의 자전적 소설이고, 거의 그녀의 에세이나 마찬가지인 소설이다.

결정적인건 로스쿨이 안나온다. 앞서 말했듯 저자 이은영씨가 법학과에 입학하고 다니는 이야기다. 이은영씨가 법학을 배울 때 우리나라에는 로스쿨이 없었다. 그녀가 서울대 법학과에서 보낸 이야기(문리대라는 명칭에서 시대가 느껴진다!)를 그려내고 결국은 로스쿨을 꿈꾸게 된다는 이야기. 말 그대로 로스쿨을 꿈꾸는 것이지 로스쿨을 직접 언급하는 내용은 거의 없다. 오히려 법학과의 한계만을 지적하며 로스쿨을 찬양하는 느낌이랄까. 로스쿨 제도 편성에 직접 관여했던 사람이 쓴 책이기 때문에, 그런 분위기에 맞춰 자전적 소설도 내고 겸사 겸사 로스쿨 제도의 명분도 만든다는 느낌이 짙었다.

물론 소설 자체는 재밌었다. 거침없이 진도도 나갈 수 있었고, 그녀가 한 말인지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법조인의 자세에 대한 글도 조금씩 실려있고(매 챕터 시작부마다 써져있다), 그녀가 바라봐온 교수들의 실명을 거론하면서 언급하고 있고, 진짜 법학자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드는 책인 것은 확실하다. 오히려 그런 가벼운 목적으로 읽는게 실망도 적고 좋다. 물론 떡밥을 던지고 제대로 회수하지 않는 점(교수가 나빴는가 좋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할 것처럼 하다가 두리뭉술하게 끝나버린다)이 완성도를 떨어트리기는 하지만.

(지금 평점이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겠지만)제목밑에 "예비 법률가가 꼭 읽어야할 성장 소설"이라는 말만 빼더라도 평점이 몇 점은 더 높아질 것 같다. 사실이 아니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