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량화혁명 - 유럽의 패권을 가져온 세계관의 탄생
앨프리드 W. 크로스비 지음, 김병화 옮김 / 심산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국 주의의 숨겨진 공신 : 현실을 수량으로 파악하기

서구에서만 성공한 자본주의, 서구에서만 성공한 제국주의... 공부를 하다보면, 자꾸 어딘가 석연찮은 벽에 부딪치게 된다. 왜 자본주의는 서구에서만 성공했을까?(자본의 미스터리, 에르난도 데소토) ,어떻게 서구의 제국주의는 그렇게 성공했을까.(수량화혁명,엘프리드 W.크로스비) 두 저자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그건 서양이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팽창을 위한 지반을 견고히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야."

그렇다면 과학과 기술을 엮은 그 지반은 무엇이었을까. 중세만 하더라도 추상적 사고의 미몽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헤롱거렸다는 점에서 서양과 동양은 다를 것이 없었다. 그러던 유럽인들이 갑자기 속도, 단단함, 무게 등 예전에는 휭 하고 스쳐지나가는 바람이나 손 위에 느껴지던 무거운 정도로만 느끼던 감각 지각의 자료등을 1m/s, 1g 등 분리된 단위의 합으로 계측하게 되었다. 일단 그렇게 계측을 하게 되니, 그동안 쌓아놓았던 현상들을 이론으로 설명하는 게 가능해졌고, 결국 서양인들은 정밀한 예술, 과학, 기계 이론으로 나아가게 된다. 10세기만 하더라도 세련된 무슬림들이 "유럽인들은 정신은 둔하고 말도 잘 못하는 종족이며,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덩치는 커지고 더 우둔해진다" 라며 비웃던 자들이 6세기 후에는 다른 그 어떤 족속들 보다도 더 진보한 과학 기술과 예술, 상업을 향유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수량화"라는 개념 즉 추상적이고, 불연속적인 현실(reality)을 계측하고, 측정 가능한 분리된 단위의 합으로 나타내는 것은 서구의 오래된 전통이 아니었다. 이것은 갑자기 생겨나 유럽을 지배한 하나의 조류였다. 플라톤만 하더라도 순수수학은 진실한 존재를 포착하게 해 주는 철학의 일부분으로 본 반면 측량학은 걸핏하면 변하는 현실의 물건을 센다는 점에서 덧없는 현실 세계를 위한 것에 지나지 않다고 보았다. 또 아름다운 비례를 갖춘 고딕 성당을 짓는 목수들의 계측은 "여기를 내가 말한 대로 잘라와" 라고 지시하는 것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교역이 발달하면서
활발하게 매매와 환전을 했던 부르주아지가 생겨나고, 화폐 경제로 이행하면서 계량화된 세계는 그 잠재력을 드러내게 된다. 판매 가능한 모든 물건은 측정되어야 하고, 가격이 매겨져야 했다. 또 기계시계는 매끄럽게 흐르는 시간도 작은 단위로 나눠 그것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사고관을 심어주었다. 또 인도-아라비아 숫자와 '0'의 도입은 로마자를 쓰던 서양인들이 큰 수도 자유자재로 곱하고 빼고 나눌 수 있게 해 주었다.

이는 "시각화" 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계량화의 덕을 본 유럽인들은 모든 것을 계량화를 함으로써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형태로 만드는 데 혈안이 된다. 예전에는 "인간에 의해 기억되지 않는 한 소리는 사라지므로 기록될 수 없다"며 자포자기 했지만, 이제는 음악마저도 수량화 하여 악보 위에 표시하였고, 회화는 실제의 크기를 계량하고 기하학을 이용해서 원급법을 적용한다. 또 복식부기의 발명은 예전같으면 흩어져 상실되고 말았을 대량의 자료를 정리하고 검토하여 그것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만들었다. 즉, 재무상태를 한 눈에 보여주는 그림으로 시각화 한 것이다.

이렇게 시각화를 통해서 실제로 눈에 보이는 사물이나 현상을 단위를 통해 계측한 결과와 일치시킬 수 있었고, 또 인지한 실재에 대해 추론하고 조작도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 역시 발전할 수 있었고, 발전한 과학은 기술에 실제적으로 적용이 될 수 있었다. 또 제도와 상업적, 관료적 기술 면에서도 실재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변형한 것은 환경을 이용하고 통제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서구는 6세기 만에 찬란한 문화와 과학 기술을 얻게 되고 동양을 앞질러 "해가 지지 않는 나라"를 세울 수 있었던 것이다.

원 저자가 올립니다 ^-^

여러분이 거론하고 있는 것을 계측할 수 있고 숫자로 표시할 수 있을 때라야 그에 관해 뭔가를 알고 있다고 나는 말한다. 그것을 계측할 수 없을 때, 그리하여 그것을 숫자로 표시할 수 없을 때 여러분의 지식은 빈약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윌리엄 톰슨, 켈빈 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찔레꽃 2007-07-07 16: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고도 요점을 추리지 못했는데, 이 리뷰를 보니 일목요연하게 요점이 보이네요. 흑, 책이 너무 어려웠어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