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 콘서트 1 - 노자의 <도덕경>에서 마르크스의 <자본론>까지 위대한 사상가 10인과 함께하는 철학의 대향연 ㅣ 철학 콘서트 1
황광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대게. '철학'이라고 하면 뭔가 막연하고 추상적인 느낌에 지레 겁부터 먹게 된다.
심오한 내용들로, 이해보단 잠이 먼저 찾아들지 않을까 걱정이 되는건 비단 나 뿐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그런 일반적인 선입견을 누르고 생각을 잠시 바꿔 보면.
철학이란 바로 우리의 일상에서 바로 곁에 숨쉬고 있는지도 모른다.
가까운 예로.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나의 생각과 기준들 - 이것이 바로 내 삶의 철학이 아닌가.
알고보면 철학이란 것, 우리와 꽤나 가까이에 머물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철학콘서트>,
이 책은 바로 나처럼 철학이라는 말만 들어도 살짝 머리가 아프며 지레 움츠러드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일단. 철학에 대한 문외한들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전반적으로 비교적 쉽고 친밀한 용어를 사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거리감을 줄였으며. 그 내용을 풀어감에 있어서도 딱딱한 설명일색이 아니라 사상의 설명과 함께 부분부분 그 상황을 재연하여 대화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재미를 더했다.
그리하여 보다 쉽게 철학과 친해질 수 있게 도와 준다.
예수, 석가, 공자, 노자, 퇴계 이황, 소크라테스, 플라톤, 토머스 모어, 애덤 스미스, 마르크스.
이름만 들어도 바로 고개가 끄덕여지는 동서양의 위대한 10대 사상가를 정하여
각 꼭지마다 각각의 사상과 그들이 남긴 고전에 대해 이야기 한다.
저자는 소크라테스, 예수, 모어와 스미스가 다가가기 쉽고, 그 다음으로 석가와 공자, 퇴계와 노자, 마지막으로 플라톤과 마르크스를 읽으라고 권하고 있다.
나는 그의 권유를 존중했지만 그냥 순서대로 읽었는데. 오히려 책의 제일 첨에 자리를 잡고 있는 소크라테스가 가장 지루했다;; ^ ^;;
반면. 제일 마지막에 권했던 마르크스는 꽤나 재미있게 읽었는데. 노동운동가인 저자의 경력이 좀 더 힘을 발했는지. 마르크스를 새롭게 만날 수 있었다.
책을 다 읽었지만. 아직도 철학은 내게 아주 가까운 친구가 되진 못했다.
하지만. 내용에 따라 순식간에 읽어 내려가기도 하고 때론 졸기도 했지만.
책을 접한 뒤 예전보다 한층 친근하게 느껴지는건 사실이다.
이 책은. 그리고 하나의 사상에 대해 깊이 내려가기 보다 여러 사상을 얕고 넓게 다룬 책이 다보니 철학에 대해 어느정도의 기본지식을 갖고 계신 분들보단 나 같이 철학에 문외한인 분들께 더 적절한 책인 듯 하다.
사실. 내겐 이 책도 살짝 어려운 부분이 군데군데 있었다;; orz;;
현대는 고대보다 '철학'의 무게감이 줄어든 듯 보이나 오히려 그 철학의 중요성이 더더욱 강조되고 있는 시대가 지금이 아닐까 한다.
너무 빠르게 변하고 있는 혼돈의 시대.
나라도, 기업도, 개인도. 모두 자신만의 철학을 가져야 살아남을 수 있다.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면 아무리 시대가 뒤숭숭하고 어지러워도 자신의 갈 길을 잃지 않으리라.
이런 생각들과 함께. 내 삶의 철학은 어떠해야 할까. 고민해 본다.
그 답을 찾으려 오늘도 책 속에 담긴 옛 선인들의 지혜를 살짝 들춰 본다.
. . .
공화국을 만드는 우리의 목적은 특정 계급이 행복한 세상이 아니라 모두가 가장 큰 행복을 누리는 세상을 만드는 데 있다. - 플라톤.
가장 잠이 왔던; ^ ^; 플라톤의 이야기 중에. 가장 와닿는 귀절이 있었는데. 바로 저 내용이다.
더불어. 우리의 정부가 잊지않고 머리속에 담아두었으면 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