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형 팩션 <뿌리 깊은 나무>로 작년 서점가를 들썩이게 했던 이정명 작가의 신작 소설이 나왔다. 세종대왕의 한글창제에 숨겨진 음모를 파헤치던 전작의 시간을 넘어 이번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꿈틀대던 조선 후기 정조대왕 시대로 넘어왔다. 농업기술의 비약적 발달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상업이 활발해지는 등 사회 전반에 변화의 바람이 일어났던 조선 후기, 작가는 이 시기에 활동한 두 천재 화가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에게 주목한다. 그리고 그들이 남겨놓은 그림들에 작가의 상상력을 보태어 새로운 이야기를 재구성해냈다. 그 결과물이 바로 <바람의 화원>이다.

엄격한 형식에 경직되어 가던 조선 후기의 화단에 새로운 화풍으로 변화의 바람을 일으킨 두 천재 화가 김홍도와 신윤복. 단원이 서민들의 삶을 힘있는 필체로 단순하고 익살스럽게 그려내는 반면, 신윤복은 그동안 도외시되었던 여인들을 그림의 주인공으로 내세워 섬세하고 세련된 필치로 담아낸다. 같은 시기에 이름을 날렸지만 둘의 화풍은 이처럼 매우 다르다. 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도 판이한데, 김홍도가 궁중화원으로 당대에 이름을 떨친 반면 신윤복에 관한 기록은 현재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단다. 작가는 이 점에 착안해 소설 속에서 신윤복에 대한 상상을 자유롭게 펼친다.


생도청 교수로 있는 홍도는 곱상한 외모의 윤복이 천부적인 그림 실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형식을 강조하고 그에 어긋남을 용서하지 않는 도화서의 분위기가 답답한 윤복은 매번 도화서의 규칙에 반항하고, 윤복의 천재적 재능을 아끼는 홍도는 제자를 감싸려 한다. 당대의 천재화가라는 명성을 얻고 있던 홍도이지만 빼어난 구도와 파격적 형식으로 여인들의 모습을 화려한 색으로 표현해내는 윤복의 재능에 점점 빠져들게 되고, 윤복을 제자가 아닌 동료로 받아들임으로써 그에 대한 마음이 깊어간다. 그러던 어느날 홍도는 정조대왕의 부름을 받게 되고, 정조는 홍도에게 10년 전 일어났던 화원들의 살인사건에 대해 재수사할 것을 명령한다. 10년이란 세월에 단서조차 제대로 남아있지 않는 살인사건을 쫓으며 그간 몰랐던 비밀들이 차례로 드러난다.

<바람의 화원>은 의문의 연쇄 살인사건을 추적하던 <뿌리 깊은 나무>처럼 10년 전 두 화가를 죽인 범인을 찾아내는 과정을 이야기의 큰 틀로 놓는다. 그리고 그 속에 단원과 혜원, 사건을 던져주는 정조, 색을 연구하는 윤복의 형 영복, 윤복이 사모하는 예기 정향, 살해당한 강수항과 서징, 윤복의 아버지 신한평, 그리고 재물을 바탕으로 권세를 휘어잡은 부상(富商) 김조년 등의 이야기들을 긴밀하게 서로 엮고 있다. 


이 책은 살인사건의 범인을 추적해가는 장르적 재미와는 별개로 단원과 혜원의 그림과 그에 따른 풍성한 감상들을 마음껏 누리는 또 하나의 재미를 제공한다. <바람의 화원>은 그림에서 출발해 그림으로 끝이나는 이야기인 만큼 그들의 그림이 서사 구조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주인공이 화가인 만큼 그림을 그린 배경이나 상황, 그림 속에 감추고 있는 상징 등을 적절히 활용해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이어나간다. 작품 속 그림은 또다른 주인공인 셈이다. 그들의 멋진 작품들을 감상하는 재미가 아주 쏠쏠하다.

인물들과 배경, 사건 등을 쏟아내는 1권을 지나 2권으로 들어서면 사건 추적에 좀 더 가속도가 붙는다. 두 화가의 피하지 못할 숙명적인 그림 대결이 펼쳐지면서 긴장감은 극에 달하고 눈을 떼지 못하는 걸작의 향연이 끝나면 사건은 마무리된다. 2권에 들어서 감춰졌던 비밀들이 하나둘 드러나며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데 그때 밝혀지는 윤복의 비밀은 꽤 충격적이다. 기존의 상식을 뒤엎는 작가의 파격적인 상상에 혀를 내두를 뿐이다. 또한 홍도와 윤복, 윤복과 정향 사이에 흐르는 미묘한 동성애적 코드는 상황에 따라 아닌 게 맞는 게 되고 맞는 게 아닌 게 되는 묘한 상황을 연출한다. 


그러나 <바람의 화원>은 살인사건을 줄거리로 그림 이야기를 엮으려다 보니 전체적인 긴장감이 떨어져 조금은 느슨하게 느껴진다. 마지막 반전이 2% 아쉬웠던 <뿌리 깊은 나무>에 비해 <바람의 화원>에서는 반전의 강도는 만족스러웠으나 사건을 대충 얼버무리 듯 마무리 지어 아쉬움을 남겼다. 또한 그림으로 단서를 제공하고 실마리를 풀어가려는 시도는 좋았으나 때때로 이야기가 그림과 어우러지지 못하고 끌려가듯 억지스레 끼워맞춘다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정조대왕의 동제각화(같은 소재로 각각 그림을 그림) 이야기는 조금 줄였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싶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거슬렸던 부분은 바로 단원과 혜원의 능력을 비교하는 부분이었다. <바람의 화원>은 두 천재 화가를 주인공으로 내세웠지만 이야기의 흐름을 위해 혜원을 좀 더 중심에 두고 그의 천재성을 부각시킨다. 물론 세상은 여전히 그들을 비교불가한 천재 화가로 평한다. 그리고 실제로 그러하다. 그러나 혜원은 자신의 재능에 자부심을 보이며 매사 주눅들지 않는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에 비해 단원은 수시로 혜원의 능력에 감탄하고 부러워하며 그의 재능이 자신을 넘어섰다고 되뇌이는 모습을 자주 반복해서 드러낸다. 단원 스스로 혜원의 능력을 인정함으로써 혜원의 뛰어남을 더욱 강조하는 것이다. 이런 설정을 한 작가의 의도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혜원의 그림보다 단원의 그림을 더 사랑하는 나게는 그리 유쾌하지 않았다.


<바람의 화원>은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적절히 섞어 짜임새 있는 소설로 탄생했다. 단원과 혜원이 남긴 그림을 통해 그들의 삶을 추론하고, 작가의 풍부한 상상력을 통해 신윤복을 새롭게 창조해냈다. 비록 인물의 파격적인 설정으로 인해 소설의 허구성이 좀 더 크게 드러나지만 상식의 틀을 깨는 작가의 상상력은 칭찬할만 하다. 충격만큼 약간의 거부감이 생길 수도 있지만 그것 또한 이 소설의 재미인 듯 하다. 2%의 아쉬움은 남지만 충분히 재미있고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소설이 아닐까 싶다.






* 오탈자

1) 153쪽 밑에서 5번째 줄 : 속 →

2) 113쪽 : 단원과 홍도의 문장이 서로 바뀌었음

3) 256쪽 밑에서 5번째 홍도의 말을 인용한 165쪽 홍도의 말 : 
     :  그저 아름다운 그림이라면 그리는 화인이 많고, 그저 뛰어난 그림을 그리는 화인은 별처럼 많을 것이다. 
     → 그저 아름다운 그림, 그저 뛰어난 그림을 그리는 화인은 별처럼 많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