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 수다 - 나를 서재 밖으로 꺼내주시오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진원 옮김 / 지니북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오! <공중그네>, <남쪽으로 튀어>로 연이어 내 맘을 빼앗은 오쿠다 히데오. 그는 현재 내가 알고 있는 일본작가 중 호감 1순위이기에 그의 이름만 들어도 바로 시선고정이다. 그런 오쿠다 히데오가 여행 에세이집을 냈다. 이제껏 그의 소설만 읽었기에(사실 우리나라에 소개된 그의 작품은 소설 뿐이지만;) 에세이집은 어떨지 궁금하기도 했고 특히 그게 여행 에세이여서 더이상 망설일 필요가 없었다(요즘 여행책에 흠뻑 빠져있다). 다른 이유는 차치하고 '오쿠다 히데오'라는 이름이 박혀있다는 이유만으로 <오! 수다>는 어느새 내 손에 들려 있다.
책표지에 '오쿠다 히데오 부산 전격 방문'이라는 글자가 큼지막하고도 진하게 적혀있길래 처음엔 이 책이 그의 부산 여행기인 줄 알았다. 그가 우리나라 부산을 방문해 그 감상을 책으로 엮었다는 감격에 살짝 들떴으나 곧 그건 나의 오해임이 밝혀졌다. 부산은 그의 6가지 여행 테마 중 하나일 뿐이었다. 왠지 조금 낚인 느낌. 그래도 일본의 다섯 항구도시를 그의 안내를 받으며 함께 여행할 생각에 가슴 설레며 책을 펼쳐 들었다.
어느날 오쿠다 히데오에게 여행 잡지사 편집장의 전화가 온다. 항구도시를 여행하고 그에 관한 기행 원고에 대한 의뢰 전화였는데, 그 여행의 교통수단은 '배'여야 한다는 조건이었다. (책을 읽는내내 비행기를 타면 몇 시간 안에 해결될 거리를 왜 굳이 16시간에서 22시간까지 걸리는 배로 이동하는지 그 이유가 끝내 언급되지 않아 무척 궁금했었다. 그런데 그 이유가 방금 생각났다. 바로 탐방할 도시가 '항구도시'이기 때문이다. 아, 이렇게 단순한 이유를. orz 늦게라도 생각나서 다행이다.) 어쨌든 그는 그 제안에 호기심을 보였고, 편집장은 그걸 수락으로 받아들였다. 그렇게 그의 항구도시 기행은 시작되었다.
여행은 계속 이어지는 게 아니라 얼마간의 간격을 두고 시작되고 끝난다. 매번 기본 10시간은 넘는 시간을 배에서 보낸 후 항구도시에 도착하면 바로 맛거리, 볼거리 등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그리고 그에 대한 그의 잡담들로 채워진다. 배를 탈 때마다 작가에게 1인실의 배려를 보이지 않는 잡지사를 향한 반어법으로 치장된 칭찬들과, 음식 취재라는 목적에 부합한 푸짐한 음식들을 세 끼 꼬박 챙겨 먹다보니 매번 여행할 때마다 배가 부르고 살이 찐다는 투정 아닌 투정들이 주를 이룬다.
오쿠다 히데오의 계속되는 선상 1인실에 대한 투정을 읽고 있노라니 문득 그의 소설 <공중그네>의 단편 『여류작가』의 한 장면이 떠올랐다. 인기 작가인 주인공은 잡지사가 여행 원고를 요청하자 아주 까다롭게 최고급 대우를 요구하는 장면이 말이다. 그렇다고 그가 소설 속 주인공처럼 속물 작가라는 말은 아니다. 그러나 계속되는 그의 투덜거림을 듣고 있자니 점점 그 소설의 주인공과 겹쳐지기 시작한다. -_-; 또한 그의 일행들은 여행지에서 맞는 밤엔 '스낵바'라는 곳을 잊지 않고 방문하는데, '스낵바'가 정확히 어떤 곳인지 잘 모르겠지만 '아가씨'나 '호스티스'라는 단어가 등장하는 걸 보면 대략 우리나라의 단란주점(?)과 비슷한 곳인 듯 하다(아시는 분은 좀 알려주세요~;;). 그런 주점을 들락거리는 내용이 매번 아무 거리낌없이 등장한다는 게 조금은 놀라웠다. 문화의 다름이기도 하고, 어쩌면 '스낵바'를 내가 오해한 것일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 가장 내 관심을 끈 건 그의 부산 기행이었는데, 시끄러운 아이들부터 때밀이 목욕 등의 내용을 보아 그리 만족스럽진 않았나 보다. 물론 마지막엔 예의상 훈훈한 내용을 몇 줄 붙여두긴 했지만 왠지 마음에서 우러난 것이 아닌 접대멘트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한국에서 맛본 음식 중 2만 5천원 짜리 비빔밥이 아주 훌륭했다고 칭찬하는 대목이 있는데, 그걸 읽으며 그 정도 가격의 비빔밥을 먹었는데 안 훌륭하면 어쩌라고~라는 생각이 불쑥; ^ ^; 나도 어쩔 수 없는 한국사람인지라 부산에 대해 툴툴거리는 그가 그리 예뻐보이진 않았다. 그래도 어쩌랴. 사람마다 느끼는 게 다른 것을. 부디 그가 기념품으로 사간 도자기 분수대를 보며 부산을 좋은 곳으로 기억해 주길 바랄 뿐이다.
생각지 않게 화가 나는 부분도 있었는데, 바로 그의 고토 기행기였다. 고토의 달리는 차 안에서 튼 라디오 방송에 뜻밖에 한국 방송국의 프로그램이 나오자 그는 고토가 한반도와 아주 가깝다는 생각을 떠올린다. 그러면서 덧붙이길 '하지만 이곳은 일본 땅이므로 영토권 주장은 하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하는 것 아닌가! 잠시 어이상실. 갑자기 '독도'에 대해 억지주장을 하는 일본 정부가 떠오르면서 확~ 열이 올랐다. 엉터리 영토권 주장을 하는 게 누군데!! -0-!! 과민반응일 수도 있지만, 어찌 들으면 마치 우리나라가 엉뚱한 주장이라도 하고 있다는 말투로 들린다. 그의 작품을 좋아하긴 하지만 그에게 이 말은 꼭!! 해주고 싶다. "독도는 대한민국 땅이므로 영토권 주장은 하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ㅡ.,ㅡ;;
오쿠다 히데오의 팬으로서 무척이나 큰 기대를 품고 접한 그의 여행기 <오! 수다>. 그러나 그는 나의 기대를 무참히 저버렸다. 기존의 작품에서 보여줬던 날카로운 비판과 풍자, 통쾌한 웃음은 어디론가 사라져 버리고 공허하고 의미없는 수다만 남아있다. 끝없이 주절거리는 그는 마지막에 '하하하'하고 웃어버리지만 나는 그의 수다스러움에 슬슬 질린다. 그렇게 한바탕 그의 수다는 끝이 났다. 책을 덮으며 앞으로는 그의 작품은 '소설'만 읽으리라 다짐해 본다. (어쩜 안 읽을수도 있지만;;)
* 참고로.. 여행 에세이라고 하나 사진은 전혀~ 없다는 거!! 대략난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