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내가 결혼했다? 응? 당연히 결혼했으니 ''아내'' 아냐? 근데 뭘 새삼스레;; 라고 말했지만 그래도 그 예사롭지 않은 뉘앙스에 혹해 책장을 펼쳐보게 된 책, <아내가 결혼했다>. 그리고 요~ 요상한 어감을 가진 제목에 대한 궁금증은 몇 장만 넘기면 곧 해결된다. 이야기가 시작되기 전, 주인공 ''나''의 어지러운 심경을 한껏 드러내주는 몇 줄의 짧은 독백이 친절하게도 이 묘한 제목의 뜻을 명확하게 확정지어 주기 때문에.
- 아내가 결혼했다 .. (중략) .. 나는 그녀의 엄연한 현재 남편이다.
헉; 현재 내 아내가 다른 사람이랑 결혼했다고? ㅡㅡ? 이건 무신 귀신 시나락 까먹는 소리이며, 자다가 남의 다리 긁는 소리인가. 내가 알기론 우리나라는 엄연히 일부일처제라는 규범이 통용되는 나라다. (물론 비공식으론 그 룰을 무시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무쟈게 많긴 하지만 어쨌든;;) 그런데 어떻게 남편인 나를 두고 결혼을 할 수 있냐고;; ㅡㅡ; 그러나.. 책 속의 ''아내''라면 할 수 있고, 해낸다;; 그렇게 ''나''의 인생을 엉망으로 만든 이 사건이 이 책의 제목으로 결정된 거다. ''아내가 결혼했다''라고.
박현욱의 재기발랄한 장편소설 <아내가 결혼했다>.
이 책은 일부일처제인 이 땅에서 자유연애와 일처다부제를 부르짖으며 그것을 과감히 행동으로 옮기는 아내와 그런 아내를 사랑하는 까닭에 가치관의 혼란을 겪으며 원치않게도 사건 속으로 휘말려 들어가는 남편인 ''나''의 이야기다. 자유연애주의자인 아내를 겨우 꼬드겨 아내가 내세운 몇 가지 조건(몇 가지지만 그 내용은 간단하지 않은;;)에 동의하며 결혼에 성공한 나. 아내의 마음을 잡아보고자 결혼 후 충성을 바치며 그럭저럭 평온한 결혼생활을 유지해 나간다. 그런데 어느날 아내가 남편인 내게 말한다. 고백한다. 사랑하는 사람이 생겼는데 같이 살고 싶다, 그냥 사는게 아니라 그와 정식으로 결혼식을 올리고 살고 싶다, 그래서 남편인 당신의 허락으면 한다, 그렇지만 당신과 헤어지긴 싫다, 그 사람을 사랑해서 결혼하고 싶지만 여전히 당신도 사랑한다, 지금 당신과의 관계에서 달라지는 것은 별로 없다, 그냥 다같이 살면 안되는가..라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인 소리를. 그런게 생겨난 혼란과 방황 속에 ''아내의 현재 남편인 나''는 ''아내''와 ''아내의 또다른 남편''과의 이상한 관계를 시작하게 된다.
이 황당하고 엽기적인, 다른 시선으로 보자면 신선하고 쿨하기까지(?) 한 이야기를 태연스레 늘어놓는 작가 박현욱은, 기존의 결혼제도에 과감히 반기를 드는 아내를 등장시켜(남편이 아닌 아내를!) 그동안 우리가 당연히 그러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일부일처제란 사회적 가치관을 전복시킨다. 그와 함께 당혹감인지 해방감인지 모를 묘한 카타르시스를 던짐과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선보인다. 일처일부란 결혼제도는 인간이 만든 것이니 그것과는 또다른 형태의 가정을 꾸릴 수 있다, 지구상에는 여전히 일부다처제가 허용되는 나라가 존재하는 만큼 일처다부제라고 안 될건 없지 않느냐..라며 꽤나 논리적으로 나를 설득하는 아내는, 보는 시각에 따라 정신이상자;;가 될 수도, 새로운 세상을 꿈꾸며 너무 빨리 앞서나가는 진보주의자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어쨌든 아내의 그런 생각과 행동은 어느정도 이해한다고 치더라도 여전히 기존의 관념에 익숙한 평범한 우리들에겐 충격이요, 위험한 행위로 보이는건 어쩔 수가 없다. 더구나 남자가 두 집 살림하는건 암묵적으로 용인해도(이건 드라마에서 너무나 흔한 소재가 아닌가!) 여자가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은 절대, 죽어도 못봐주는 우리 사회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그런 까닭에 반대로 소설속 아내가 그런 도덕적 잣대와 사회적 관념을 가볍게 접고 자신의 생각대로 나아가는 행위를 보는 마음은 묘하게 흥분되기도 한다.
이런 가치관의 전복과 함께 이 소설이 눈에 띄는 이유는 ''단연'' 축구와의 비유 때문이다!!
작년 월드컵이 열릴 때 그 열기에 덩달아 붉은악마 두건?(수건?)을 덤으로 주는 이 책의 이벤트를 보면서 대체 아내와 축구용품과는 무슨 관련인가 의아했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책을 읽은 후, 축구는 이 소설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는 걸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책의 가장 첫머리에서 이 글귀를 만날 수 있다.
- 인생 그 자체가 축구장에 지나지 않는다 (W.스콧)
W.스콧의 말은 맞았다. 흔히들 스포츠는 인생의 축소판이라고 하지 않는가. 정말 그랬다. 주인공이 겪는 일상의 일들과 그 상황과 비슷한 상황의 축구이야기(경기나 선수나 기타등등 축구와 관계된 것은 모두!)를 같이 대비시키며 스토리를 전개해 나가는 이 책은 축구와 인생의 상관관계를 이내 수긍하게 만들어 버렸다. 어쩜 상황마다 그리도 岵暉?예를 들어놓았는지!!! 축구에 관한 작가의 박학다식함에 놀라고 또 놀랐다! (물론 이것은,, 국대축구 외엔 축구경기를 그리 즐겨보지 않는 나의 무식함에 기인한 놀라움일 수도 있다;;) 적재적소에 둥지를 틀고 있는 축구 이야기들을 읽고 있노라면 곧~ 인생은 축구고, 축구는 인생이 된다. 그 사각 구장안에는 인생에서 만날 수 있는 모든 일들이 벌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미처 나처럼 둔한 관객이 눈치채기도 전에 그 일들은 일어나고 사라진다. 우리 인생 속의 크고 작은 일들 또한 그렇지 아니한가.
빠른 호흡으로 경쾌하게 진행되는지라 한 번 잡으면 잠시 숨돌릴 타이밍 조차 잡기 힘들었던 책. 작가의 신선한 관점으로 진행되는 이야기에 축구경기의 단편들이 접목된 독특한 형식의 이 소설은 간만에 만난 톡톡~튀는 청량음료 같은 한국소설이었다. 물론 책 속에서 거론되는 아내의 행동에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그에 대한 판단은 어디까지나 독자의 몫이 아닐까 싶다. 개인적으로 일부다처제든, 일처다부제이든 어느 것 하나 반갑지 않지만(난 일처일부제 주의다;;), 세상엔 많은 사람들이 있고 각기 다른 생각을 갖고 있기에 다양한 생각을 존중할 필요는 있다고 본다. 물론 그 다양성의 인정이 말처럼 쉽지 않다는게 문제이지만 말이다;;
재미난 문제작, <아내가 결혼했다>
견해의 차이는 충분히 컸으나, 그래도 그 기발함에 아주 재밌게 읽었기에 기꺼이 이 책의 손을 들어주련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