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 죽었다
론 커리 주니어 지음, 이근애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신이 죽었다







 

이 책의 참신함은 정말로 놀랍다.

처음 부분에 시작되는 “신이 죽었다”라는 부분에서

신은 인간의 몸으로 들어와 변화를 꿈꾸려다가 아프리카의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내전을 통해 갑작스럽게 죽게 되는데

이 책은 그 이후의 여러 가지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다.

우리도 그렇듯이 신이 갑자기 없어진다면 사람들은 어떤 일이 일어날까?

만약 작가가 한국에서 이 글을 작성했다면, 우리나라의 신앙심이 깊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대혼란에 대해서 글이 시작될 것이다.

신이 죽었다고 발표 후 생긴 에피소드 중 인디언 서머와 같은 부분에서 사람들은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마음을 그나마 유지할 수 있었던 하나의 상징의 상실로 인하여 사람들이 포기하는 것을 보여준다.

사회의 단면적인 부분을 볼 수 있는 예로 설명하자면, 아무리 어렵고, 힘든 일이 생기더라도,

 현 정부나 사회가 우리에게 해 줄 수 있는 일은 크지 않다.

단지 조금의 위안이 될 뿐이지만, 그래도 마음속에 평정심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장치로 신이라는 것을 떠올 릴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신이 없다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그나마 믿고 있던 것이 사라진다면,

우리도 흔히들 겪는 일중에 믿는 도끼에 발등이 찍히는 일은 정말로 사람을 멍하게 만든다.

하물며 자신이 믿고 있던 것의 상실감은 이루어 말로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이렇게 깊게 생각하는 것은 책을 심오하게 읽은 사람들이지만,

사실 이 책의 작가는 그럴 의도로 작성한 것이 아니라 재미로 썼을 지도 모른다.

그 이유는 이 작가는 신인이라는 점에서 자신의 머리속의 이야기를 거침없이 내 뱉을 수 있는 당당함이 있기 때문이다.

 신이 죽음으로써 모든 것이 허용되는 사회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이야기로 나타내 주는 혁신이 보였다.

이 책에서는 기독교적 신이라는 언급은 없고 단순한 신이라는 존재라고 말했으며,

인간의 정말 기초적인 본성에 대한 자기 생각을 글로 풀어썼다.

 책의 크기도 적당하면서, 내용이 어렵지 않아 소설이지만 간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기 때문에 일반교양서적으로 추천을 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