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 땅의 이방인들 - 미국 우파는 무엇에 분노하고 어째서 혐오하는가 ㅣ 이매진 컨텍스트 62
앨리 러셀 혹실드 지음, 유강은 옮김 / 이매진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자신의 이익과 무관하거나, 심지어 반대되는 정책들을 지지하며 열올리는 친구를 오랫동안 이해할 수 없었다.
부의 재분배를 반대하고, 복지 확대를 반대하던 그.
<자기 땅의 이방인들>은 그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던져 준다.
부제는 <미국 우파는 무엇에 분노하고 어째서 혐오하는가>이다.
사회학자인 저자는 미국의 좌우가 갈수록 분열을 더해가는 현실,
특히 그 분열이 좌파가 왼쪽으로 이동한 때문이 아니라, 우파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것이라는 사실에 주목한다.
"미국 전체에서 빨간색 주(공화당을 지지하는 주)는 더 가난하고, 10대 엄마와 이혼자가 더 많고, 건강 지표가 낮고, 비만율이 높고, 외상 관련 사망자가 많고, 저체중 신생아가 많고, 학교 입학률이 낮다. 평균해서 빨간색 주 사람들은 파란색 주(민주당을 지지하는 주)사람들보다 5년 일찍 사망한다. 실제로 루이지애나 주와 코네티컷 주의 기대수명에서 드러나는 차이는 미국과 니카라과 사이의 차이하고 똑같다."
많은 지표가 증명하듯, 우파를 지지하는 쪽이 더 가난하고, 환경오염에 시달리고 있음에도,
그들이 복지확대에 반대하고, 환경보호청 축소(혹은 폐지)를 주장하는 정당을 지지하는 현상.
이것이 저자가 지목하는 '거대한 역설'이다.
"소농들이 몬산토에 표를 던진다? 길모퉁이 구멍가게 주인이 월마트에 표를 던진다? 동네 서점 주인이 아마존에 표를 던진다?"
저자가 찾아간 우파의 심장부, 루이지애나에서 저자는 그들 내면의 이야기를 듣고자 한다.
그들에 관한 이야기들 중 인상 깊은 부분들을 추리면 이렇다.
청정한 자연환경을 사랑했지만 석유 시추 및 유사 산업에 종사하며 그 환경을 오염시키는 일에 때때로 동참해야 했던 사람들,
그들은 일자리 혹은 환경,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린다.
또한, 지역을 거의 장악하다시피한 폭스뉴스는, 그 압박감을 가중시킨다.
교회 역시 그들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데 일조한다.
무엇보다 저자가 소설처럼 구성한 그들 입장에서의 '내면의 이야기'는 굉장히 인상깊다.
요약하자면 이렇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꾼 사람들, 그들은 성실하고, 긍정적으로 살아왔다. 그럼에도 그 꿈은 아직 요원해보인다.
그들의 인내심이 바닥날 때쯤, 새치기 하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여성, 이민자, 난민, 공공 부문 노동자는 물론 멸종 위기의 동물이라는 갈색펠리컨까지.
그들은 의심을 품게 된다. 누군가 새치기 하는 사람들을 돕고 있는지도 모른다고.
그들은 배신감을 느끼게 된다.
열심히 살아왔음에도 계속해 뒤로 밀린다고 여기는 그들은 이렇게 "자기 땅의 이방인들"이 되어간다.
이방인 신세가 된 이들은, 그들끼리 하나로 뭉치며 다시 다수가 된 기쁨에 휩싸인다.
그렇게, 트럼프는 이들을 자극하며 대통령이 된다.
미국의 우파를 다뤘지만 한국의 내 지인들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반갑기도 했다.
저자가 묘사하는 지역별 빈부의 차는 매우 사실적이어서 섬뜩하기도 했다.
가령, 유기농산물을 구할 수 없다거나 온갖 튀김 메뉴가 그득하다거나, 길에 사람이 없다거나 하는 등의 섬세한 예.
좌든 우든, 함께 살아가야 하는 동반자이다.
저자는 쌍방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고, 이 책을 저술했음을 분명히 한다.
자신과 다른 쪽을 희화화하거나 단지 우스개소리의 소재로 삼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어차피 좌우는 함께 정책을 결정해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기에, 서로를 토론과 설득의 대상으로 봄이 마땅하다.
미국을 집중적으로 다뤘으나, 좌우가 더욱 극심하게 분열되는 현상은 비단 어느 한 나라의 일이 아닐 것이다.
한국의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많은 이들과 함께 읽고 싶은 책이다.
<자기 땅의 이방인들 - 앨리 러셀 혹실드 지음, 유강은 옮김/ 이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