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여자는 위험하다 - 13세기에서 21세기까지 그림을 통해 읽는 독서의 역사, 개정판
슈테판 볼만 지음, 조이한.김정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부제는 "13세기에서 21세기까지 그림을 통해 읽는 독서의 역사"이다. 

성경을 든 성녀 마리아부터 율리시즈를 읽는 메릴린 먼로까지, 제목에 충실하다. 

책 읽는 여성들의 그림(드물게 사진)들이 펼쳐진다. 


책 읽는 여자, 위험하지 않을리가 있나.

역사의 동반자로 여기지 않는다면, 그 어떤 깨침도 위험할 수밖에.

이따금, 시대를 감안한다 해도 유독 지나치게 여성을 억압한 사람(혹은 집단)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들)가 여성을 유별나게 무서워했던 것은 아닐까 생각도 든다. 대체 여성에게서 무엇을 보았기에? 


독서는 역사적으로 자주, 부정적으로 묘사되었다. 특히 여자의 독서는. 

"책을 읽는 여자는 어떤 사람도 들어올 수 없는 자신만의 자유 공간을 획득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통해 독립적인 자존심 또한 얻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밖에도 세상에 대한 자기 나름의 상을 만들어냈으며, 그것은 출생과 전통으로 매개된 모습이나 남자가 보는 모습과는 분명 일치하지 않았을 것이다."

독서란, "사회를 통한 통제, 그리고 가장 가까운 공동체 - 이를테면 가족이나 가정 공동체, 종교 공동체- 의 통제에서 '벗어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종교재판의 희생자가 주로 여성과 책이었다는 점은 놀랍지도 않다. 

"글을 읽고 쓸 줄 알고, 무엇인가를 아는 여자 그리고 그 같은 지식을 담은 책, 그들은 위험하다. "그것을 내다버려!" 남자로 이루어진 정치가, 독재자, 지배자, 경찰, 관리들은 쓰여진 단어를 종종 경멸한다."


진시황은 책을 불태웠다. 수많은 독재자들도. 

"책을 읽는 사람은 깊이 생각을 하게 되고, 깊이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의 독자적 생각을 갖게 된다. 자신의 독자적 생각을 가진 사람은 대열에서 벗어나고, 대열을 벗어나는 자는 적이 된다."

독서의 의의를 짚어보며, 나의 독서의 효용을 생각해보게도 한다. 


독서가 곧 생각을 가져다 주진 않지만, 확률을 높여주는 것은 확실하다.

위험한 사람이 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