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몬드 (양장) -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타인의 불행에 무덤덤한 사람들. 

세상에 불행은 너무나 많으므로. 모두 다 내것으로 여기면, 도저히 살아낼 수가 없으므로. 

그러나 그 불행이 내것이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어째서 나의 고통에, 내가 사랑하는 이의 고통에 그리도 무감할 수 있느냐고, 세상의 매정함에 억울해 한다.


감정 표현 불능증, 다른 말로 알렉시티미아.

윤재는 선천적으로 작은 편도체 때문에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한다. 

기쁨도, 공포도, 분노도 잘 느끼지 못하는 건 불편함을 가져오고, 때로 생존을 위험하게 하는 요소이지만, 

덕분에 "세상을 곧이 곧대로만 받아들였다."

거친 곤이를 만나고, 버림 받을까 두려워 강한 척 하는 그 아이의 모습을 알아보는 건 다름아닌 윤재다.  

"사람들은 곤이가 대체 어떤 앤지 모르겠다고 했지만, 나는 그 말에 동의하지 않았다. 단지 아무도 곤이를 들여다보려고 하지 않았을 뿐이다."


엄마, 할머니, 심박사, 도라. 

늘 손을 잡아주는 사람이 있었던 덕분일까.

무엇이 되고 싶은지 생각해 본 적 없는 윤재는 성장한다. 감정을 느끼기 시작하고, 하고 싶은 일이 생긴다.

"갑자기 마음속에 탁, 하고 작은 불씨가 켜졌다. 행간을 알고 싶었다. 작가들이 써 놓은 글의 의미를 정말 알 수 있는 사람이고 싶었다. 더 많은 사람을 알고 깊은 얘기를 나누고 인간이 무엇인지 알고 싶었다."

"나 언젠간 글을 쓸 수 있을까. 나에 대해서."


책이나 영화를 보며 세상이 소름끼치게 무서워질 때가 있다. 

"엄마는 늘 집단생활에는 희생양이 필요하다고 얘기했었다."

그게 현실감 있게 느껴질 때 더욱. 

할머니는 말한다. "사람들은 원래 남과 다른 걸 배기질 못"한다고. 

책을 보며 제일 화가 났던 순간은, 천사의 얼굴을 한 악인 -철사- 때문이 아니었다. 

윤재가 가족을 잃었다고 공표하며, 아이들에게 격려의 박수를 유도하던 담임의 모습. 그때 나는 분노가 일었다. 

악의 없는 위해. 


하지만 이내 온당치 못한 공포를 잠재운다. 

사람은 너무 약해서 그런거니까.

너무 약해 강한 척 하려 하고, 미지의 존재가 무서워 다름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도와주려다 실수하곤 하는 거니까.   

세상은 살 만한 곳이다, 분명. 

윤재는 책을 보며 생각한다.

"마치 이 세상에 정해진 답은 없다고 말해 주는 것 같았다. 그러니까 남들이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한다고 해서 꼭 정해진 대응을 할 필요도 없는 게 아닐까. 모두 다르니까, 나같이 '정상에서 벗어난 반응'도 누군가에겐 정답에 속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다름이 조금 더 인정된다면, 좋겠다. 


책에 대한 이야기는 유독 마음에 드는 구절이 많았다. 

"할멈의 표현대로라면, 책방은 수천수만 명의 작가가 산 사람, 죽은 사람 구분 없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인구 밀도 높은 곳이다. 그러나 책들은 조용하다. 펼치기 전까진 죽어 있다가 펼치는 순간부터 이야기를 쏟아낸다. 조곤조곤, 딱 내가 원하는 만큼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