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승優勝 열패劣敗의 신화 - 사회진화론과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역사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우승열패의 신화

 박노자 지음

 

 ----------------------------

 더 이상 그를 파란눈의 귀화 한국인으로 소개안해도 될만큼 명성을 가지게 된 오슬로의 한국학 교수이다.

 

 지난 책들이 너무나 강렬해서 그의 신간이 나오길 기다려지는데 '순수토종' 한국인들보다 더 한국사와 동양사에 대해서 심도있는 연구를 진행중이며 날카로운 안목으로 과거와 오늘의 관계를 되짚으며 우리가 나아갈 미래를 그려보이는것이 전문이라고 해야할까?

 

 이 책에서는 우리 나라 사람들의 '빨리빨리' 성격의 기원을 찾아 거슬러 올라가보는데 그리 멀지 않은 우리의 과거속에 그 이유가 있음을 밝혀낸다. 조선시대 후기 이전만해도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인의 모습은 사뭇 여유롭다 못해서 게을러 보일 정도였다는 점이 우리가 근 100년간의 사이에 이렇게 '급한' 민족성을 가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쉽게 생각해도 농경사회에서 '급하다'고 결실이 더 빨리 맺는 것도 아닐 것이고, 자연의 순리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생활방식인 것을 감안해도 '급함'과 우리 민족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듯 하다. 그렇다고 현재의 '급한 성격'을 어디서 기인한다고 봐야할까? 단순히 식민사관의 하나로 '저급하고 성격 급한 민족'이라 배웠음이 영향만으로 치부하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하다.

 

 이에 대한 답을 저자는 조선후기 제국 열강들의 틈새에서 한민족이 살아남을 방법에 대한 대표적인 기득권 학자, 정치가들의 '우승열패'사상에서 찾아보았다.

 

 일제가 불합리하며 불평등한 '한일합방'을 통해 강제로 침략하고, 청나라나 러시아 같은 주변 열강들의 시시탐탐 노리는 상황속에서 대한제국의 살길을 찾기란 그리 쉽지 만은 않았다. 이 상황에서 지식인이나 정치인들은 단합하지 못하고 각자가 주장하는 사상에 따라 친미주의자, 친일주의자, 친러주의자, 친청주의자 등 열강의 힘을 배경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하지만 모두가 한소리를 내는 것은 '힘의 원리에 있어서의 우승열패 주의'다.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자신의 배경이 되는 나라의 기술이나 발전사를 배워야 하며, 이를 통해 국력을 신장하고 위기와 혼란의 나라를 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지도부의 혼란속에 백성의 수탈이야 말할 것도 없지만, 여러 파벌들은 삼일천하를 누리고 뺏기는 속에서 나라는 끝이 없는 나락으로 빠지게 된다.

 역시나 작금의 정치나 100년전의 크게 다름이 없기에 가슴 한편이 답답하기만 하다.

 

 갈피를 못잡는 나라를 살리는 길 찾기 중에 세계전쟁을 경험하고 결국엔 자주적이지 못한 타자에 의한 해방을 맞이하게 된다. 이후에도 사분오열되어 자기 주장만을 고집하게 되는데. 역사는 되풀이 된다고 하지 않던가.  해방의 기쁨은 이내 사라지고 나라가 반으로 갈라지게 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이 역시 열강의 패권경쟁에 의한 분단이기도 하지만, 지도층의 무능력과 분열이 큰 원인으로 작용한 점이 이내 안타깝기만 하다.

 

 19세기 초중반 나라의 살길이 '힘을 키우고, 세계는 적자생존의 정글이다'라는 인식론속에서 우리는 '급하지 않을 수 없는' 성격을 자연스럽게 가질 수 밖에 없게 된 것이 아닌지 저자는 질문을 던진다.

 

 '속성' 이 통하던 계발시대에서는 우리는 성장하였지만, 성장에 어울리는 진정한 '국력신장'은 이루지 못한 것이 아닐까?

 독도, 간도의 영유권, 고구려 역사 등 현안 중요한 이슈들에 대해 우리는 당당하게 목소리를 높이며 '주권수호'가 가능할 만큼의 힘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속성의 끓어 오르는 냄비 근성으로서는 해결하기 불가하며 우리 고유의 민족성인 인내와 노력을 앞세워 당당한 대한민국인으로서 살아가야 할 것으로 믿는다.

 

 19세기 초반의 지식인들이 오류에 빠지는 큰 이유중의 하나가 근시안적이며 제국주의적 사고를 가졌었다는 것인데 이는 일본어나 중국어로 번역된 서양간행물들을 통해서 지식을 습득한 것이 큰 이유이다.

 이같이 우리 청년의 생각이 편협되거나 왜곡돼지 않으려면 다양한 독서와 실질적인 외국어 능력의 향상을 통해서 여러 사상들을 자주 그리고 많이 접해야 하는 절대절명의 이유는 이런 점이다.

 '역사는 반복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