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얼굴에 혹할까 - 심리학과 뇌 과학이 포착한 얼굴의 강력한 힘
최훈 지음 / 블랙피쉬 / 2021년 7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릴 적부터 많이 들은 문장이 있다.


"순하게 생겨서 부모님이 고생을 덜 하겠다." "부모님에게 효도하게 생긴 얼굴이네." 


"공부잘하게 생겼다." "너 문과지? 아닌가?"


그때는 덕담이라고 생각했는데 최근에 와서 부쩍 비판적으로 보는 문구이다.


"순하기는 했는데 부모님이 고생은 하셨어요." "공부는 잘 하기는 하는데 수도권은 못 갔어요."


"저 이과이고 공대 갔는데요." 


얼굴만 보고 이렇게 단정적으로 말해도 되는건가?


이 답답함을 <왜 얼굴에 혹할까?">이 시원하게 타파해주었다.


얼굴에 성격이 보이기는 한데...


우리의 상상 이상으로 눈의 성능은 좋다. 


3초도 안 되는 찰나의 순간에 일부 성격과 IQ까지 실제와 비슷하게 파악한다. 


이를 '찰나의 판단'이라고 한다.


어릴 적 나에게 덕담 비스무리한 말을 해준 사람들도 그런 '판단'을 했을 것이다.


다만 '찰나의 판단'은 몇몇 성격만 단번에 파악하고 나머지는 그러지 않는다.


그래서 좀 답답한 상황이 많았다.


타인이 둥글고 통통한 겉모습만 보고 섬세하고 강단있는 성격을 읽어내지 못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래 장의 마지막에 있는 작가님의 말이 와 닿았다.


겉모습으로 상대방의 성격을 확신하는 것은 또 다른 폭력일 수 있다."

 나도 타인에게 그러는 것이 아닌지 생각해보는 순간이었다.


웃는 상을 원한다며 바라고 웃어봅시다.


최근에 얼굴과 관련된 평가가 1번 더 있었다. 바로 말하기 워크숍이었다.


발음이나 억양처럼 단번에 이해되는 평가도 있었지만 밝은 미소는 뜻밖의 평가였다.


"이번 발표는 그렇게 무겁지 않아서 어둡게 할 필요 없어요."


분명 입으로 웃었는데 왜 안 웃었다고 하는것인지 의문이었으나 

미소의 종류를 배우고 알았다.



눈꼬리가 함께 웃는 뒤센 미소와 입만 웃는 팬암 미소가 있다.


팬암 미소를 해도 ZOOM을 이용해서 눈이 잘 보였을 것이다.


그런 환경이라면 뒤센 미소와 팬암 미소를 청자들이 구분하기 쉽다.


그래서 미소 지었어도 안 지은 표정처럼 보였다.


앞으로 발표할 일이 한 두 번도 아니고 이번 기회에 웃는 상이 되고자 한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웃는 상이 될 지 감이 안 잡혔다.


  여기서 피그말리온 효과를 다 보네.


너무 흔해서 잊고 있었던 중요한 심리 현상인 피그말리온 현상은 잊고 있었다.


결과론적으로 긍정적으로 만든다면 웃는 상을 만드는데 활용해도 된다.


타인이 해준 말도 자신이 스스로 한 말도 결국은 암시다.


무표정보다 팬암 미소가, 팬암 미소보다 뒤센 미소를 지으면 좋다.


의식적으로 미소짓는 일이 힘든데 잘 아는 심리 효과가 나오니 생각이 바뀌었다.


  지금 내 얼굴도 결국 내가 그리던 모습이라면 피그말리온 효과로 바구면 그만 아닌가?


코로나19로 인한 집콕 생활의 연속이라면 이런 시도도 나쁘지 않다.


결국 자신을 바꾸는 자는 자신이기 때문이다.


  토막지식으로만 알고 있던 상식을 더 깊게 배우고 이래저래 활용하기 좋은 <왜 얼굴에 혹할까?>였다.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시대, 새로운 얼굴 시대가 온 만큼 필수적인 책일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